60 |
조일리 1409-1유적은 (주)상우토건의 공장건립부지에 대한 구제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조일리 1409-1유적의 주변 일대는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이며 경부고속도로 통도사 IC 건설부지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이 조사된 지역이…
|
|
김현철,박정환,김성욱,김민경,전은영 |
2011 |
|
4130 |
59 |
이번에 조사한 경상좌병영성 북동구간의 성벽 발굴은 병영성의 복원·정비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 조사구간의 성벽은 무너지고 파괴된 채 흙으로 덮여 있었고, 경작지로 이용되면서 성곽선마저도 뚜렷하게 알 수 없었다. 때문에 복원·정비를 위해서는 정…
|
|
김광옥,한선영,김현주 |
2011 |
|
4055 |
58 |
울산 산하동 화암유적은 울산 북구의 강동산하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 조성을 위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 연구원에서 발굴조사한 유적이다. 유적에 대한 조사보고서는 총 3권이며 울산 산하동유적(2010), 울산 산하동 화암고분군(2011)은 발간하였고 마지막으…
|
|
이재현,배은경,김성식,김지연,이선철,박찬미 |
2011 |
|
4287 |
57 |
울산 산하동 화암고분군은 강동산하지구 택지개발사업을 위해 우리 연구원에서 조사한 Ⅱ지구 3구역의 단위 고분군이다. 산하동일대는 비교적 넓은 평지상의 해안단구가 발달된 곳으로서, 고분군은 평지에서 구릉성 산지로 이어지는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한다. 여기서는 청동기…
|
|
이재현,이재흥,김현주,한선영 |
2011 |
|
3746 |
56 |
태화강 황룡연 북쪽 언덕은 신라의 3대 사찰 가운데 하나인 太和寺址의 추정지역이며, 고려시대 이후 수많은 문인들이 題詠詩文을 남긴 태화루가 있었던 곳이다. 조선시대에는 社稷壇과 이 太和院있었던 장소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설들이 없어지고 한동안 경치 좋은 언덕으로…
|
|
이재현,김현철,전은영,김민경,박정환 |
2010 |
|
43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