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
蔚山 伴鷗洞 遺蹟이 위치하고 있는 울산광역시 중구 반구동 일대는 통일신라시대 지방호족이었던 박윤웅1)의 활동무대 였으며, 조선 초기 울산읍성과 병영성이 축조되기 전까지 울산지역의 중심지였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에는 왜군이 마지막까지 저항했던 격전지이기도 하다. 한…
|
|
이재현,이현석,김현철,지윤미,김민경,김종호,전은영 |
2009 |
|
5602 |
44 |
울산 야음동 619 유적은 울산광역시 남구 야음동 619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공동주택 신축부지에 대한 구제발굴에 의해 확인되었다. 한유주택주식회사 대표이사는 공동주택을 신축하기 위하여 사업부지 58,352㎡에 대한 지표조사를 문화재보호법 제74조의 2에 따라 우…
|
|
송정식,황현진,이민아,이정민,장지연 |
2009 |
|
4421 |
43 |
울주 명산리 314-1 유적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명산리 314-1번지에 위치하며, 근린생활시설 신축부지에 대한 구제발굴에 의해 확인되었다. 건축주 이충엽은 근린생활시설을 신축하고자 사업부지 1,650㎡에 대한 지표조사를 문화재보호법 제74조의 2에 따라 우…
|
|
송정식,황현진,이민아,이정민,장지연 |
2009 |
|
4056 |
42 |
蔚州 芳基里 339番地 遺蹟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339번지 일원에 25,100㎡ 규모의 창고건물 신축을 위해 구제발굴된 유적이다.
지표조사는 2007년 9월 13일부터 2007년 9월 22일까지 통도사성보박물관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 및 삼국…
|
|
이현석,김종호,전은영,김현주 |
2009 |
|
4064 |
41 |
울산 신천동 냉천유적Ⅱ의 조사면적은 32,420㎡를 시굴조사한 결과 유구가 확인된 14,725
㎡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면적은 유구가 확인된 지역과 주변지역까지 포함한 것이다. 시굴조사 결과, 유구가 곡부를 경계로 두 개의 구릉에 주로 분포하여…
|
|
이현석,김종호,전은영,김현주 |
2009 |
|
4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