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문화재발굴보고서

문화재발굴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제121집] 울산 율동유적Ⅱ(1·2구역)
연구부서 문화재센터 과제분류
연구진 배은경,김광옥,강정미,김현주,김지연,김형규 발행연도 2022
첨부파일 분량/크기 31.0M

울산 율동유적는 울산광역시 북구 효문동 산31-1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율동골 북쪽 구릉의 사면을 따라 조성되어 있다. 울산연구원 문화재센터와 가람문화재연구원이 공동으로 이 유적을 조사하였고 그 중 우리 연구원이 1구역(4,200)2구역(960)을 조사하였다.

1구역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43, 집석유구 1, 구상유구 2, 고려~조선시대 묘 83, 시대미상 수혈 36, 주혈 9, 구상유구 5기 등 총 179기가 확인되었다. 2구역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2, 시대미상 수혈 12, 주혈 21, 구상유구 1기 등 총36기가 확인되었다. 유물은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 반월형석도, 어망추 등과 고려~조선시대의 청자, 백자, 도기병, 청동숟가락, 상평통보, 벼루 등 190점이 출토되었다.

유적에서 확인된 주거지의 구조, 출토유물의 특징, 방사성탄소연대 등을 검토한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조성시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후반에서 후기로 추정된다, 묘는 청자, 백자, 도기병, 금속류(청동숟가락) 등의 출토유물의 특징으로 볼 때 고려 말기~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울산 율동유적(1·2구역)에서 정밀발굴조사된 자료는 조사구역 서쪽 구릉에 위치한 울산 효문동율동유적, 울산 율동유적과 함께 울산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과 고려~조선시대 분묘의 분포양상과 특징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첨부파일은 웹용으로 최적화되어 있어 해상도가 낮습니다. 원본이 필요할 경우 문화재센터(052-283-7780)로 문의해주십시오 

배은경,김광옥,강정미,김현주,김지연,김형규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