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다운동유적은 태화강과 척과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산지의 구릉사면에 위치하며 분포면적은 길이 1km, 너비 300m 정도로서 울산 중산동유적, 울주 하대유적, 운화리유적, 상전리유적과 함께 울산을 대표하는 대규모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운동유적에 분포하는 유구는 무문토기시대 집터, 삼한시대 목관묘~목곽묘단계, 삼국시대 석곽·석실묘단계, 조선시대 건물지가 확인되었으며 이번에 보고하는 다운동 마 구역에서는 무문토기시대 집터와 유물, 삼한시대 목곽묘와 유물,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석곽 및 석실묘와 유물, 그리고 조선시대 건물지가 새로 조사되었다. 다운동 마 구역 유적은 전체의 다운동유적군에서 북쪽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창원대학교박물관·신라대학교박물관·울산대학교사학과가 합동 조사한 가~라 구역과 우리 연구원의 문화재센터가 조사한 바 구역이 연접하고 있다. 다운동유적은 문화유적총람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촌로와 울산지명 연혁에 의하면 옛날부터 다전고분군으로 불리어졌으며 현재 통용되고 있는 다운동고분군으로 불어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듯하다. 그 후 창원대학교박물관 등에서 1995년 다운동 가~라 구역을 발굴 조사한 후 유적의 중요성이 인정되어 다운동유적군에서 가장 남쪽에 위차하는 일부 지역이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1호 다운동고분군으로 지정되어 일부 면적이나마 문화재보호법 차원에서 보존·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운동유적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굴아화촌과 관련이 있는 굴화리라는 자연마울이 다운동유적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옛날부터 굴아화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다운동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삼한시대 목관묘~목곽묘단계에 이르는 무덤이 굴아화천이 존재한 시기와 유사한 편년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문토기시대의 집터도 마 구역에서는 4동만이 조사되었지만 유구의 구조와 배치, 평면형태 등에서 다운동 일대의 이 시대의 취락 구성과 범위, 타 취락과의 문화적인 교류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주거지도 3동이 조사되었는데 최근에 울산에서 발견되는 자료와 비교·연구될 수 있는 보기 드문 자료이다.
> 연구성과물
> 문화재발굴보고서
문화재발굴보고서
보고서명 | 제2집 울산 다운동 마구역 유적 | ||
연구부서 | 문화재센터 | 과제분류 | |
연구진 | 김성식,유병일, 김성미, 배순희, 권석호 | 발행연도 | 2003 |
첨부파일 | 분량/크기 | 22.1M | |
다운로드수 | 5820 | 조회수 | 7584 |
김성식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