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문화재발굴보고서

문화재발굴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제91집] 울산 중산동 이화유적Ⅱ -이화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발굴조사보고서-
연구부서 문화재센터 과제분류
연구진 배은경,김성식, 김성욱, 강정미, 이선철 발행연도 2016
첨부파일 분량/크기 73.2M

울산 중산동 이화유적는 울산광역시 북구 중산동 산69-2번지 일원이며, 울산 북구 중산동 일대 산업단지 개발 사업부지이다. 울산과 경주를 잇는 7번 국도에 자리하는 메아리학교의 동쪽 구릉부로 중산동 갓안마을을 지나계단식으로 구획된 경작지와 접한 산지성 구릉에 해당한다.

조사지역은 남북으로 길고 넓어 Ⅰ․Ⅱ지구로 나누어 조사를 진행하였다. 발굴조사 결과 삼국시대 주거지 42수혈 84구상유구 4주혈군 18개소 석축 1, 고려시대 토광묘 84가마 1, 조선시대 주거지 8수혈 40우물 1구상유구 15토광묘 5, 시대미상 가마 2탄요 2수혈 24토광묘 27구상유구4, 굴립건물지 1동 등 총 363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1지구는 삼국시대 생활유적(주거지, 수혈, 구상유구),-2지구는 고려시대 분묘유적이 주를 이룬다. -1-2지구는 고려~조선시대 생활유적과 분묘유적 등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울산 중산동 이화유적는 기존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확인된 중산동 일원 삼국시대 고분유적과 동시기의 취락유적에 해당하므로 이 지역의 생활상을 엿 볼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로 판단된다. 또한, 고려~조선시대의 분묘는 일정 구역에 한하여 집중적으로 조성되어 있어 일정집단의 분묘군이라 할 수 있고, 출토 유물은 지역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울산 중산동 이화유적에서는 역사시대의 다양한 유구들이 확인 조사되어 당시 중산동 지역의 특징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