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 |
국가 및 광역차원에서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구군 및 행정동(읍·면)단위에서 인구의 변화는 주어진 상황을 중심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인구변화는 산업의 활성화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으며, 울산의 경우에도 산업단…
|
이슈리포트 |
강영훈 |
2017 |
|
14049 |
133 |
현행 울산의 ‘ 자연재난 행동매뉴얼(2016년 발행) 지진대책편을 살펴보면 울산의 지역특성을 제대로 반영했다고 볼 수는 없다. 이 행동매뉴얼의 근간이 되는‘ 지역방재대책-지진편-’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울산‘ 지역방재대책-지진편-’에는 지진에 대…
|
이슈리포트 |
최준호 |
2017 |
|
10987 |
132 |
울산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급증하는 노인인구 만큼이나 노인교통사고가 늘어나는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교통대책 수립이 요구되는 상황이다.울산의 고령자 인구구조 변화와 통행특성 및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 보행환경·대중교통수단’ …
|
이슈리포트 |
김승길 |
2017 |
|
12510 |
131 |
교토의정서를 기반으로 한 기후체제 이후 최근 파리협정에 따른 신기후체제가 공식 발효되면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등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신기후체제에 의해 울산은 조선,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과 전기…
|
이슈리포트 |
윤영배 |
2017 |
|
11782 |
130 |
최근 세계적인 경기불황과 제조업 중심의 경제성장에 대한 한계에 직면한 한국 경제는 그 동안의 제조 장치산업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울산 지식재산서비스산업의 위치는 전국 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특히 주…
|
이슈리포트 |
이경우,김혜경 |
2017 |
|
104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