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이슈리포트

이슈리포트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공업용수로 이용하는 방안
연구부서 -- 과제분류 이슈리포트
연구진 김석택 발행연도 2009
첨부파일 분량/크기 594.8K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말미암은 물 부족 탓에 사회적으로 많은 애로를 겪고 있다.

   특히 수원확보에서 기상현상과 지형 등 자연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 호소와 하천표류수에 대부분을 의존하는 울산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추가적인 수원확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대체수원의 확보 이외에 한정된 수자원의 재활용 측면을 고려한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은 “에코폴리스 울산”의 중요한 환경이슈이다.

  울산 관내 하수처리장 처리수를 공업용수로 사용하면 현재 공업용수 공급가능량이 813,609㎥/일로 예상되며 이 중 공급량 측면, 입지적 측면, 현실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판단해 볼 때, 우선 용연하수처리장, 온산하수처리장, 방어진하수처리장 순일 것이다. 2006년 기준 울산시의 가동 중인 하수처리시설 6개소에 대한 재이용 사용수량 확인결과, 연간 유입하수량 149,467천 톤에 대해 약 3.38%인 5,048천 톤이 재이용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시설용량이 비교적 큰 용연, 온산, 방어진 하수처리시설의 재 이용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수처리장 방류수는 연중 발생량이 일정하고 고도처리로 수질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울산의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이 될 수 있으므로 용수부족의 해소는 물론, 기업체의 비용절감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하수처리수 재이용은 제3의 환경산업이자 울산의 신성장 동력산업의 일환으로써 공업용수의 공급 및 운영 등에 울산지역의 환경산업 전문기업이 참여할 뿐만 아니라 일자리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수처리수 재이용은 울산의 전략사업인 환경산업의 육성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그린뉴딜 정책에 부응하며, 정부예산이 아닌 민간투자사업원칙과 유사사례를 감안하여 정부고시사업의 수익형 민자사업(BTO)으로 시행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김석택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명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