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고는 KTX 울산역 개통에 따른 주요 변화를 단기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를 통한 장기적 도시발전 방향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 주요 변화는 KTX 개통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이슈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음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KTX 울산역 개통에 따른 주요 변화 및 쟁점 :
○ 이용객은 계속 증가하고 연계교통체계는 잘 구축되어 있는가?
- KTX 개통 후 지난 6개월 동안 이용객은 월 3.6%가 증가하였고, 하루 평균 이용객은 9,595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용구간은 울산과 서울구간이 약 5,000명(51.7%)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대구(11.5%), 광명(11.3%), 대전(10.7%), 부산(5.9%) 순으로 조사
- KTX 울산역의 이용연계권역(KTX 경제권)은 울산을 중심으로 경남 양산, 부산 기장, 경북 경주, 경북 청도 지역으로 조사되었으나, 울산을 제외한 지역에서 울산역 이용 비중은 매우 낮아, 이용객 증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목적의 광역연계교통체계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
○ KTX 울산역 개통으로 인한 경제적 혜택은 무엇이며, 지역발전의 차별적 효과(빨대효과)는 발생하는가?
- 설문조사결과, KTX 울산역 개통으로 인한 경제적 혜택을 시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103.6분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금전적으로는 전체의 62.3%는 평균 15,984원이 증가한 반면, 27.5%는 평균 25,134원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어 KTX 울산역 개통으로 인한 시간적, 금전적 혜택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사업/업무목적의 혜택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
- 쇼핑은 KTX 개통전후 지역의 유통판매액이 꾸준히 증가하여 쇼핑분야의 역류 효과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설문조사결과 이용객의 상당수는 주목적 외 부수목적으로 쇼핑을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
- 의료 역시 KTX 울산역 개통 후 진료비가 증가하고, 병상가동율의 변화가 없어 서울지역으로의 역류현상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의료이용의 차별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암환자 등 중증환자의 서울지역병원 이용증감 및 서울지역 상급병원에서의 지역 의료 이용량 비중을 좀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음
○ KTX 개통으로 인한 인구유입 및 부동산 가격 상승은 있는가?
- KTX 개통 전후 6개월간 인구이동조사 결과 개통전은 순유출이 발생하였고, 개통후는 순유입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울산 인근의 부산, 대구, 경북, 경남 지역에서 순유입이 발생하였음
- 순유입이 KTX의 직접적 영향으로 단정하기 어려우나, 전반적 경기회복과 KTX 개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인구유입효과와 더불어 KTX 인근지역의 부동산 가격(아파트 매매 및 전세)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도시발전 방향 및 전략 :
- KTX 개통을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혹은 지역발전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대한 투자와 종합적인 지역발전전략이 요구되며, 그 결과는 유동인구와 유입인구의 증가로 볼 수 있음
- 지역발전전략은 울산만이 아닌 울산과 주변지역을 포함한 광역권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기능적 연계성을 강화하는 전략으로 추진
○ 지속적 유동인구의 확보는 어떻게 할 것인가?
- 유동인구 증가를 위해서는 우선, KTX 울산역 역세권 지역에 특성화된 선도거점기능(역사문화기능)을 마련하고, 이를 중심으로 울산 혹은 주변 지역의 타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방문객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강구, 선도거점기능은 인구유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 다음으로 울산역과 인근 주변 지역과의 효율적 연계교통체계를 구축하여 울산과 주변지역과의 연계뿐만 아니라, 울산 인근 지역에서 울산역을 많이 이용하도록 하고, 점차적으로 KTX 이용연계권역(KTX 경제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유입인구는 어떻게 증대 할 것인가?
- 유동인구의 증가는 점차적으로 유입인구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지만, 유입인구의 증대를 위해서는 역세권 개발을 지역의 도시발전과 연계하는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예를 들어, 울산 서부권 혹은 KTX 울산 경제권의 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기능(기업지원서비스업종, 첨단산업업종)을 역세권 혹은 그 인근지역에 확충하여 자족성을 강화하고, 이와 연계한 쾌적한 주거 및 교육기능 보강, 부족한 시설의 확충 등을 통해 울산 서부권 및 광역권의 도시발전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