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지역고용정책은 중앙정부 주도방식에서 벗어나 현장의 상황과 요구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유기적 연계 속에서 수립⋅집행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의 노동력 수요와 공급을 기반으로 하여 지역 노동시장의 미스매치를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인적자원개발, 직업능력개발, 고용지원서비스, 노사관계 안정화 등과 같은 통합적 고용정책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자리 창출, 인적자원개발, 고용지원서비스, 노사관계 등 지역주도적이고 통합적인 고용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지역고용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지역고용거버넌스의 핵심적 역할은 지역파트너십에 근거한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 노동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역 경제발전과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것이다. 지역고용거버넌스적 지역협의체는 지역의 고용‧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정책결정 또는 심의⋅의결 하거나 지역의 고용⋅인적자원개발 사업의 계획 및 집행 등 지역 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노사관계와 관련된 노동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현재 울산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초보적 형태의 지역거버넌스를 통합‧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고용 및 노사관련 협의체의 효율성 제고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고용심의회, 지역노사민정협의회 등의 통합을 통한 지역고용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자율적 지역발전 협의체인 발전협의회도 울산의 산업과 미래의 일자리 창출, 노사관계의 선진화 등의 의제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므로 발전적인 통합방안에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울산지역고용거버넌스는 지역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의 일자리 창출, 노사관계 안정화, 인적자원개발, 청년실업 등의 현안에 대한 의제를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지역사회 전체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의제(산업육성, 저출산고령화 등)로 사회적 대화를 확대⋅추진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