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전면에 혁신도시 활성화가 부상하면서 10개 지역에 설립된 혁신도시가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다.
2단계 혁신도시 활성화방안으로 ‘혁신환경·정주환경 및 미래환경 조성’ 등이 발표되고, 지역대학과의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지역문제해결을 위한 실험도시 등이 주요 추진사업으로 언급되면서 혁신도시 생태계에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본 리포트는 정부의 정책방향과 궤를 같이하고 혁신도시를 지역혁신의 거점으로 활용하여 울산지역의 지역혁신사례를 만들어가기 위해 선진국의 성공적인 혁신도시를 살펴보았다.
울산혁신도시가 지역혁신의 거점으로 성장하기 위해 대도시인접형 혁신도시의 한계를 벗어나 확장성을 확보하고, 기업지원기관이 대다수 이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전공공기관과 연계하여 발전할 수 있는 대학과의 산학연클러스터 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