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 |
울산 도시재생사업지역에 ‘리빙랩’ 입히자권태목 박사 / 도시공간연구실 리빙랩, ‘일상생활의 실험실’ 개념도시재생사업 발굴 단계부터 도입을문제 파악·제안 등 주민참여형 사업 기대‘리빙랩 활성화 기법’ 공유돼야 <정책제언>울산, ‘리빙랩 통한 선행적 도시재생사업…
|
이슈리포트 |
권태목 |
2019 |
|
11290 |
183 |
울산 자동차 튜닝, ‘문화’로 활성화하자 증가하는 튜닝 수요… 정부도 적극 지원울산 기존 부품업체가 튜닝산업 성장 기반타 지역 사례… ‘인프라 튼튼’ ‘추진력 돋보여’“울산 자동차부품산업, 튜닝으로 활력을” <정책제언>부품 제조사 ‘사업 다각화·업종 전환’ …
|
이슈리포트 |
황진호 |
2019 |
|
12179 |
182 |
물관리 일원화 1년… 울산, ‘통합물관리’ 새 체계 구상할 때 환경부, ‘통합물관리 과제 수행·조직 개편’ 적극 나서울산시, 물관리 일원화 소극 대응‘유역 기반 통합물관리’ 고민할 시점 <정책제언>울산 통합물관리 근거될 기본조례 제정 필요환경부 조직 개편에 …
|
이슈리포트 |
윤영배 |
2019 |
|
10981 |
181 |
커뮤니티 매핑으로 울산관광 활성화 ‘한걸음 더’유영준 박사/경제사회연구실 참여자 집단지성 활용한 ‘데이터 지도’울산 시·군·구, ‘홈피·SNS’로 관광홍보 활발담당자 변경 등 맛집안내·후기관리에 한계공공·교육기관 사례 검토… 울산형 관광지도 제작 필요 <정책제언&…
|
이슈리포트 |
유영준 |
2019 |
|
11586 |
180 |
울산 지역서점 활성화, ‘시민 니즈’에 적극 반응해야김상우 박사 / 경제사회연구실 온라인·대형 서점 영향… 지역서점 운영난 심화울산시민 독서율 하락에도 ‘적극 독서자’는 지속 증가‘지역서점 자생력 확보’ ‘시민과의 접점 확대’ 필요 <정책제언>울산 지역서점 …
|
이슈리포트 |
김상우 |
2019 |
|
113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