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이슈리포트

이슈리포트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울산, ‘스마트 행정’ 실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부서 -- 과제분류 이슈리포트
연구진 김승길 발행연도 2014
첨부파일 분량/크기 3.5M

‘빅데이터’란 기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로는 수집·저장·관리·분석이 어려운 방대한 규모의 정보를 뜻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스마트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백화점, 슈퍼마켓, 고속도로 톨게이트 등에 설치된 CCTV와 신용카드 단말기, 각종 센서에서 생성되고 축적되는 각종 정보들이 ‘빅데이터’로 분류된다.

이처럼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는 최근 민간은 물론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 일반행정, 도시관리, 환경, 안전, 교육, 교통, 경제, 복지 등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활용해 그 가치를 높여가고 있다.
인터넷 이용환경이 7대 도시 중 가장 양호한 울산도 향후 ‘빅데이터’ 활용으로 행정의 효율성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종합적인 마스터플랜 수립과 기반 시스템 구축 등의 선행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 빅데이터(Big Data)란?
  - 빅데이터는 기존 데이터에 비해 규모(Volume)가 방대하고, 형식이 다양(Variety)하며, 순환속도(Velocity)가 매우 빨라서 기존 방식으로는 관리·분석이 어려운 데이터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모, 다양성, 속도측면에서 다양한 유용성을 지님

  - 특히 규모면에서 전수분석이 가능해 정보왜곡이 줄어들고, 다양성면에서는 변수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할 수 있으며, 속도면에서는 실시간 ‘나우캐스팅(Nowcasting)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큼

 

美·英 등 선진국과 서울시, 교통·시설물 관리 등에 ‘빅데이터’ 적극 활용 나서 … 인터넷 사용 환경 뛰어난 울산도 빅데이터 이용한 도시행정 효율화 ‘기대’

  - 현재 미국, 영국 등 선진국뿐만 아니라 국내 서울시에서도 공공정보 민간개방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민참여형 오픈플랫폼 구축을 통해 교통정보 제공, 도시 시설물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행정을 구현하고 있으며 이를 점차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고 있는 추세로 울산시도 이에 대한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

  - 울산시는 시민들의 평균연령이 36세로 매우 낮고, 인터넷 이용환경이 7대 대도시 중 가장 양호한 도시로 향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민참여형 오픈플랫폼 구축이 될 경우 시민들의 적극적인 행정참여로 효율적인 도시행정을 구현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울산의 빅데이터 활용방안, 체계적 계획수립과 기반시스템 구축 선행돼야

  - 첫째, 울산광역시 시정지표인 ‘한국 행정혁신의 리더 울산’을 달성하기 위해 『울산광역시 정부3.0 추진계획(2013)』 수립을 통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구현’을 중점 추진과제로 계획 중으로 현재 빅데이터 추진 초기단계임을 고려해 빅데이터 수집·분석·활용을 실천하기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필요

  - 둘째, 공공부문 빅데이터의 핵심은 데이터 자체의 공유와 개방에 있으므로 사회경제적으로 가치가 높고 파급효과가 큰 공공데이터부터 단계적으로 개방 및 확대를 추진하고,이와 함께 관련 데이터를 모아 쉽게 자료를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울산광역시 차원의 공공데이터 표준플랫폼 구축과 더불어 국가차원의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과 연계 개방 추진
 - 셋째, 빅데이터 수집, 분석, 예측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전담조직 구성으로 울산광역시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기반 확보와 관련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빅데이터 포럼’을 만들어 주기적인 미팅 실시

김승길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명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