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은 경제가 충분한 고용 기회를 제공하지 못해 초래되는 노동수요부족 외에도 마찰적 미스매치(frictional mismatch)와 구조적 미스매치(structural mismatch)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마찰적 미스매치는 노동시장의 지리적, 공간적 차이 등으로 인한 구인 구직자간 정보 불균형에 따라 발생하는 일시적 실업상태를 말한다.
구조적 미스매치는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학력, 숙련도 등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초래하는 실업상태가 이에 해당된다.
울산은 지난 1년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고용률과 달리 올해 초 3.3%를 기록한 실업률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지역 고용시장에서 인력수급 불일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 연구성과물
> 이슈리포트
이슈리포트
보고서명 | 울산, 인력수급 미스매치 완화를 통한 노동시장 효율성 제고 방안 | ||
연구부서 | -- | 과제분류 | 이슈리포트 |
연구진 | 황진호 | 발행연도 | 2012 |
첨부파일 | 분량/크기 | 932.1K | |
다운로드수 | 4461 | 조회수 | 8640 |
황진호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