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연구원 "생활폐기물 성상별 배출 특성 고려한 감량 노력 필요"
언론사 울산매일신문 조회수 614
작성일 2023-12-29 게재일자 2023-12-29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1007

 

10년 이상 전국 상위권에 머물던 울산 생활폐기물 원단위 발생량이 2021년을 기점으로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지만 일부 자치단체는 재활용쓰레기 비율이 여전히 높아 성상별 배출 특성을 고려한 감량 노력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울산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김희종 박사는 28일 울산도시환경 브리프를 통해 울산지역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12년 만에 전국 평균 아래로 내려갔다며 구·군별로 배출 특성을 고려해 감량효과를 극대화할 것을 제언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10년 이상 전국 상위권에 머물던 울산 생활폐기물 원 단위 발생량은 20211.05/·일로, 전국 평균 1.18/·일을 밑돌았다.

 

울산의 생활폐기물 원 단위 발생량은 지난 10년 이상 7대 광역시는 물론 전국에서도 제주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항상 상위권에 머물렀다.

 

그러던 것이 20191.39/·일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20211.05/·일로 7대 광역시 중 2번째, 전국에선 부산과 세종에 이어 3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인테리어 공사중 나오는 5t미만의 생활폐기물을 규격봉투에 처리하도록 한 것 등에 영향을 받았다.

 

지역별로는 중구는 20161.20/·일을 기록한 이후 줄곧 감소해 20210.77/·일로, 울산지역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북구도 20161.33/·일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로 돌아서 2020년부터 전국 평균보다 낮아졌다. 동구는 2020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으나 2021년 큰 폭으로 감소해 전국 평균보다 낮은 0.94/·일을 기록했다.

 

남구와 울주군은 2018년과 2019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지만 2021년 현재까지 전국 평균보다 다소 높은 원 단위를 보였다.

 

남구와 울주군이 타 구·군에 비해 종량제 폐기물 중 불연성 폐기물(건설폐재류 등)과 재활용쓰레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반면 재활용률은 2021년 기준 48.0% 미만으로 중구(51.4%)와 북구(53.2%)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김 박사는 이같은 특성을 고려해 건설폐재류 등 불연성 폐기물과 재활용쓰레기의 배출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폐기물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박사는 "·군별 생활폐기물의 성상별 배출 특성을 고려한 감량 노력과 자원순환기본법에 따른 자원순환목표 달성을 위해 '재활용 극대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강태아 기자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