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울산에서도 고령 노동자를 보호하고 젊은 노동자 유입을 위해 현장의 근무조건 개선과 젊은 세대 가치관에 부합하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울산연구원 울산경제동향분석센터는 지역 경제동향과 경기동행지수, 전문가 제언 등을 담은 ‘월간울산경제’ 11월호를 통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실제로 울산의 고령화 속도는 상상 이상이다. 인구를 구조적으로 들여다 보면 이미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문제는 속도다. 다른 지역보다 고령화의 속도가 빠르다는 이야기다. 고령화는 인구의 감소와 함께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산연령인구 즉, 젊은층이 줄어들고 부양해야 할 노인은 급속도로 늘어나는 불균형이 심화된다. 통계를 보자. 오는 2050년이면 울산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84.8명의 노인을 부양해야 할 정도로 고령화가 급속도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지방통계청 자료를 보면 작년 기준 울산인구 111만1,000명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16만2,000명(14.6%)에 달한다. 문제는 대책이다. 울산은 고령화 속도에 비해 대책은 느림보 상황이다. 울산연구원이 고령노동자를 보호하고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내놓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35%로 OECD 평균(15%)을 크게 옷돌고 있다.
실제 통계에서도 지적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중소기업 직원 4명 중 1명이 55세 이상이다. 이미 직원의 고연령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특히 제조업과 건설기능인력의 경우 지난 22년 동안 50~60대는 증가한 반면 30대 이하는 크게 감소, 고령화에 따른 업계 전반의 역동성 저해가 우려된다. 연구원의 보고서에서도 이같은 점을 지적하고 있다. 울산의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지난 9월 기준 11만명으로 2015년 대비 다소 증가한 수치이다. 고연령으로 갈수록 일자리의 질이 떨어지고 공급도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고령화가 진행되는 만큼 노인 일자리에 대한 양적·질적 제고가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고령 인구의 증가가 무조건 위기나 문제가 되는 일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의 경제활동 욕구와 사회참여 욕구는 높은 편이라는 점도 중요하다. 문제는 현실적으로는 노령층의 일자리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과 노동의 질이 좋지 않다는 점이다. 이같은 문제를 충분히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맞춤형 대책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