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민선8기 들어 지방채(빚)의 상당부분을 상환하고 있다.
민선7기에서 발행한(빌린) 지방채 3,300억원을 물려받았는데, 올해까지 1,550억원을 갚는다는 계획이다.
김두겸 시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김 시장은 재정건전성을 확보해 미래세대에 재정 부담을 물려주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재정정책의 1순위로 꼽고 있다.
울산시는 18일 만기 도래하는 지방채 1,300억원을 일시 상환했다.
이날 지방채 상환으로 울산시 채무비율은 지난 2021년 말 기준 18%에서 14%대로 낮아졌다.
이 돈은 민선7기에서 2020년도에 3년 만기일시상환으로 빌린 것으로, 앞서 2018년 12월 700억원, 2019년 12월 600억원을 빌린 돈을 갚는데 쓰였다.
2018년과 2019년에 빌린 돈의 이자가 높아 이뤄진 조치로 보인다.
2020년에 빌린 1,300억원은 민간투자사의 모집공채로 이자가 1.05%로 싼 대신 3년 만기 일시 상환이어서 2023년 9월 18일 갚아야 하는 돈이다.
민선7기는 2020년도에도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지역발전지원금에서 300억원(2년 거치 5년 상환)을, 지역상생 발전기금에서 400억원(2년 거치 8년 상환)을 빌려썼다.
2021년에도 공공자금관리기금에서 400억원(5년 거치 10년 상환), 지역상생발전기금에서 900억원(2년 거치 8년 상환)을 빌렸다.
일시상환이 아니어서 현재 민선8기가 조금씩 갚아나가고 있다.
올해 말까지 총 1,550억원을 갚고 나머지 1,750억원도 순차적으로 갚는다는 계획이다.
지방채 상당부분을 상환할 수 있었던 것은 보통교부세 추가 확보로 가능했다.
울산시는 김 시장 취임 직후 보통교부세 산식 조정을 통해 올해분 9,960억원을 받아냈다.
전년도 6,171억원과 비교하면 증가액 규모가 상당하다.
보통교부세가 증액되면서 허리띠를 졸라매지 않아도 빚을 갚을 수 있는 여력이 생긴 셈이다.
울산시는 현재 재정건정성 확보를 재정 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꼽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울산시 출연기관을 통폐합해 효율적인 조직 운영과 구조조정을 이뤄냈다.
△여성가족개발원과 사회서비스원을 울산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으로 통합(1월) △인재평생교육진흥원을 울산연구원으로 편입(4월) △문화재단과 관광재단을 울산문화관광재단으로 통합(4월) △경제진흥원과 일자리재단을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으로 통합했다.
시 관계자는 "민선 8기 울산시 재정 건전화 추진방안 중 하나인 미래세대 부담경감을 위한 건전재정 운영 방침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과 채무상환으로 시의 재정 건전성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지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