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지역사회가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지정을 위해 역량을 결집한다.
울산시는 29일 오전 10시 30분 시의회 1층 시민홀에서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본지정을 위한 관계기관 공동 업무협약 및 선언식을 개최했다.(편상훈 울산연구원장 참여)
이날 선언식은 전국 15개 예비지정기관 중 최초로 진행되며, 다양한 기관들이 함께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날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라 공동 추진기관인 울산시와 울산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HD현대는 기관 간 교류체계 구축하고,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주요 협약 내용은 △글로컬대학30 추진을 위한 사업 연계 및 협력 △미래 신산업 대학원 신설 및 운영 △기관 간 인적자원 교류 등 혁신적 인사 제도 운영 △지역산업육성을 위한 기금조성 등이다.
업무협약에 이어 울산시를 비롯한 공동 추진기관, 지역대학,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병원, 울산상공회의소, 이전 공공기관, 혁신지원기관 등 24개 공동 협력기관이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 본지정을 위해 공동협력을 선언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 지정은 울산 미래의 중대한 현안"이라며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지역 대학의 거점대학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울산시민 모두가 염원을 담아 응원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컬대학30은 대학 내·외부 벽을 허물고, 지역·산업계 등과 협력관계(파트너십)를 기반으로 대학과 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끌어 갈 대학을 2026년까지 30개를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교육부 사업이다.
지난 7월 12일 울산대학교를 포함한 15건이 글로컬대학30에 예비지정 되었으며, 10월 6일까지 실행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하면 본심사를 거쳐 11월 10건 내외를 선정해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한다.
이에 울산시는 글로컬대학 지정 등 대학지원체계 강화를 위해 지난 7월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울산대학교, 울산테크노파크와 함께 전담(TF)팀을 구성해 실행계획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울산대학교도 자체적으로 글로컬대학의 이상과 추진방향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5월 15일부터 대학 구성원, 총학생회, 총동문 등을 대상으로 '글로컬대학30 설명회'를 개최했다.
대외적으로도 지역 산업계와 이전 공공기관, 혁신지원기관 등과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중요성과 가치를 공감하고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김지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