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전국 최초 값싼 전기료 시대 연다
언론사 울산제일일보 조회수 898
작성일 2023-08-18 게재일자 2023-08-18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2133

 

울산에서 값싼 전기료 시대가 열리고 있다. 울산시가 내년 6월로 예정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시행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처음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본격 나섰다. 특별법은 지난 6월에 제정돼 내년 6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데,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별 전기요금제근거를 담고 있다.

 

시는 17일 롯데호텔울산에서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회를 개최했다. 발표회는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 울산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지정 추진단 출범, 분산에너지 관련 주제발표 등으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김두겸 울산시장, 김기환 시의회 의장, 권명호 국회의원,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 이윤철 울산상의회장,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을 비롯한 공공기관 및 지역 산업계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울산시가 발표한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활성화 단계별 로드맵 수립 특화지역 지정 선점 지원센터 건립 추진 분산에너지 데이터센터 설립 제안 수도권 데이터센터 기업유치 등 5개 중점 과제로 구성됐다.

 

울산시는 추진전략 5개 중점 과제에 대해 기획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이를 통해 세부사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날 울산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지정 추진단도 출범했다. 추진단은 산업계·학계·연구계 등 분산에너지분야 전문가 등 24(단장 울산시 경제부시장)으로 구성됐다.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회 모습.

추진단은 앞으로 1년간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 수립 등 기획연구용역에 참여하고, 특화지역 지정 선점을 위한 첨병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해당 용역은 울산테크노파크 에너지기술지원단에서 주관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주제발표에서는 그리드위즈 류준우 대표가 울산 산업단지형 자급자족 플랫폼, 특허법률사무소 아원 박형준 대표변리사가 분산에너지 지식재산권(IP) 활용 전략을 발표했다.

 

기업체에서는 한국동서발전 임도형 미래기술융합원장이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HD현대일렉트릭 강화구 에너지신산업수석이 에너지플랫폼 사업계획을 소개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은 신재생에너지인 수소, 이차전지, 부유식해상풍력 등을 기반으로 분산에너지를 선도해 나갈 준비된 지역이다특화지역 지정을 출발점으로 그 선상에서 기업들의 발전소 건설 투자가 용이해져 분산에너지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주목을 끈것은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국장)의 울산 방문이다. 산업부는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제정 이후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마련해야 하는데, 울산이 전국 최초로 개최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발표회에 주무부서 관계자로 참석기 때문이다. 산업부가 울산의 움직임을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향후 특별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마련에 울산사례가 나침반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호현 정책관은 울산시 발표회에 앞서 UNIST(울산과학기술원)에 설치돼 그리드위즈기업이 운영 중인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이트를 방문하고, 지역 에너지 기업과 간담회를 가졌다. UNIST ESS설비는 산업부의 지역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아 2020년에 구축돼 그동안 UNIST의 전력 피크를 저감하는 등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해 왔다.

 

이호현 정책관은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에너지 시스템구축을 위해서는 지자체와 지역에너지 기업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울산시의 분산에너지 추진전략이 마중물이 돼 다른 지자체에서도 지역 주도형 에너지시스템 구축이 더욱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인준 기자​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