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조선업 수출이 지난 20년간 연 5.5%씩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무역수지는 10년간 효자 노릇을 하다 이후 10년은 꾸준히 낮아지고 있어 수출구조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울산연구원 울산경제동향분석센터는 17일 발간한 ‘월간울산경제’에서 울산 조선업의 수출성장률을 분석해 지역 조선산업을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 조선업의 수출성장률은 지난 22년간 (2001~2022년) 연평균 5.5%를 기록했으며, 조선업에서의 고용은 지역 전체 제조업 고용의 23% 수준을 나타냈다.
2001년부터 5년 단위로 무역수지기여도(CTB)를 분석한 결과 2001~2005 105.0, 2006~2010 년 115.5, 2011~20 15년 73.4로 나타났으나 2010년대 중반부터 감소하면서 장기평균을 하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CTB는 지수가 양(+)이면 무역흑자에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장기평균(2001~2022년)을 기준치로 상대적인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지표이다.
이는 국내·외 경기의 전반적인 침체에 따른 수출입 감소로 무역수지가 줄어든 점도 이유이지만, 선박의 무역수지가 울산 전산업 무역수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동차·석유화학 등 다양한 산업 육성으로 조선업이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무역수지 비중은 2010년 1 23%에서 2022년 4.0%로 산업의 다변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수출변동요인을 분석한 결과 울산의 조선업은 여타 지역 대비 높은 지역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조선업 전반에 대한 산업구조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산업 평균 성장률보다 조선업이 낮고 수출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