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에 7,890억 추가 투자
언론사 울산매일신문 조회수 914
작성일 2023-08-01 게재일자 2023-08-01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0542

 

코리아비티에스, 넥스트스퀘어 등 7개 기업이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약 7,89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약속했다.

 

이는 지난 20일 울산이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에 따른 후속 조치다.

 

울산시는 31일 오후 울산시청 시민홀에서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 투자·공동협력 선언식을 개최했다.

 

울산시는 이날 5개 전략과제, 13개 핵심 분야, 28개 세부지원사업으로 구성된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 육성 전략도 발표했다.

 

'특화단지 육성 투자협약 체결'에 참여한 업체는 인켐스, 코스모화학등 기존 13개 투자선도기업에 포함된 2개사와 신규 투자 의향을 밝힌 코리아비티에스, 넥스트스퀘어, 세일정기, 에코케미칼, 씨티알 모빌리티 5개사 다.

 

이들 기업은 이차전지 소재 및 재활용 분야 기업으로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약 7,89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계획을 밝혔다.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 육성 전략은 5개 전략과제, 13개 핵심 분야, 28개 세부지원사업으로 구성됐다.

 

5대 전략과제는 전주기 지원 기반(인프라) 구축 연구개발(R&D)을 통한 초격차 기술 확보 복합 협력지구 조성 소재·부품 전지제조 기업간 협력체계 구축 규제 ·제도 개선 등이다.

 

먼저 특화단지 통합지원센터를 건립해 전주기 인프라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지원센터와 실증센터, 평가·인증센터를 세워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를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연구개발(R&D)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고에너지밀도·차세대 이차전지 관련 기술과 재자원화 기술, 재활용 시스템 등을 개발해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한다.

 

이종산업과의 협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특화단지에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차전지 전주기 산업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계획도 나왔다.

 

지역 내 산학연관 이차전지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고, 동남권 이차전지 협력벨트를 확대해 협력 플랫폼을 확보한다.

 

마지막으로 전방위적인 세제·금융지원을 통해 민간투자를 촉진하는 한편, 규제 특례를 적용하고 신규산단 조성을 통한 산업용지를 공급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민간투자 적극 유치 및 지원, 대규모 연구개발(R&D) 사업 추진, 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공급 등 내용이 담긴 투자·공동협력 선언도 이뤄졌다.

 

울산시와 울산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울산연구원 등 8개 혁신지원기관, 삼성SDI, 고려아연(), 대한유화(), 코스모화학() 등 투자선도기업 11개사 등 총 19개 산···관이 참여했다.

 

선언문은 민간투자 적극 유치 및 지원 대규모 연구개발(R&D) 사업 추진 전주기 통합 기반(인프라) 구축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공급 등을 주요 내용으로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 육성을 위한 협력 의지를 다진다.

 

'유공자 표창'은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추진에 적극 노력한 이차전지 투자선도기업인 3명과 혁신지원기관 소속 직원 5명 등 8명이 울산시장 표창을 받았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번 첨단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에 따른 입지 확보, 세금 공제, 사업화 지원 등으로 앞으로 기업들의 울산 투자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라며 "오늘 여러분의 투자 약속으로 세계적(글로벌) 첨단이차전지 거점도시로서 울산의 서막이 올랐으며, 앞으로 우리시도 최선을 다해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강태아 기자​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