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국가지질공원 지정을 위해 인증 추진 조례를 제정하고 체험·교육·관광 프로그램 개발 사업에 착수한다. 시는 2024년 후보지 인증을 신청해 2025년 국가지질공원에 지정된다는 계획이다.
시는 24일 시청 본관 4층 국제회의실에서 ‘울산국가지질공원 인증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지난 4월 중간보고회 당시 제시된 공원 범위를 재설정했다.
앞서 시는 중간보고회를 통해 울산 국가지질공원의 주제를 ‘태화강 물줄기를 따라 백악기로 떠나는 여행’으로 설정하고 10개 지질명소 후보지를 선정했다. 10개 지질명소는 △천전리 공룡발자국화석산지 △대곡리 발자국화석산지 △국수천 습곡 △선바위 △주전 포유암 △대왕암해안 △간월재 △작괘천 △정족산 무제치늪 △간절곶 파식대 등이다.
시는 지질명소가 집중된 동구와 울주군을 중심으로 지질공원을 설정하되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피하면서 다른 관광자원과 연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국가지질공원 인증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세부 계획도 수립했다.
시는 우선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 조례를 제정 및 공표하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 관리 예산을 확보하기로 했다. 또 지질공원 탐방객의 안전과 관리를 위해 안내소·안내판·탐방로를 설치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한다.
지질공원과 관련된 체험·교육·관광 프로그램 개발 사업에 착수하고, 지질공원해설사 양성을 통한 프로그램 운영 인력 확보에도 나서기로 했다.
지질공원 지역 주민 및 민간단체 등과의 교류·협력을 위해 지역 협력업체를 발굴해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지역 주민 설명회 확대 및 주민협의체 체결도 진행한다.
‘백악기 지층에 새겨진 신석기시대 포경의 독보적 증거’ ‘겸재 정선의 화폭을 장식한 산수화 같은 하천지형’ ‘마그마 혼합의 결과를 보여주는 독특한 점박이 암석’ 등 지질공원 주요 지질 명소의 지구과학적 가치도 도출했다.
시는 국가지질공원 인증 학술토론회, 학술연구, 지역 주민 참여 사업 등 준비 과정을 거쳐 2024년 후보지 인증을 신청해 2025년까지 국가지질공원에 지정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최종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적극 반영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