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소부장산업(소재·부품·장비산업) 생산·부가가치 증가율이 전국 평균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초반만해도 소부장산업에서 차지 하는 부가가치 비중이 20%를 웃돌던 전자부품이 20년 사이 0.4%까지 곤두박질 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전자부품 소부장 지원과 기업 유치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울산연구원(원장 편상훈) 울산경제동향분석센터는 10일 지역 경제동향과 경기동행지수, 전문가 제언 등을 담는 '월간울산경제' 6월호를 통해 이 같은 분석 자료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울산의 소부장산업 생산액은 전국 4위, 부가가치액은 7위 규모다. 종업원수는 6만957명에 달했다.
울산 소부장산업 구조는 '소재 73%, 부품 26%, 장비 1%'이다. 이는 주력산업중 하나인 석유화학산업의 발달로 전국(소재 38%, 부품 57%, 장비 5%)과 달리 소재의 비중이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
세부품목별로 살펴보면 1차금속제품과 수송기계부품의 부가가치가 생산액 대비 상대적으로 낮았다.
부품소재특별법이 처음 시행된 2001년(생산액 28조8,582억원, 부가가치액 10조2,336억원)과 비교하면 생산액은 233%, 부가가치액은 118% 성장세를 보였으나, 전국 평균 증가율(각각 316%, 304%)을 밑돌았다. 특히 부가가치의 성장이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센터는 이의 원인을 전자부품의 역성장으로 꼽았다.
전자부품이 2001년 화학소재 다음으로 높은 부가가치 비중(22.2%)을 보였는데 2021년말 기준으로는 0.4%에 그치고 있는게 문제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을 비롯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첨단 소부장에 대한 지원과 육성, 기업 유치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산업도시라는 타이틀과 달리 울산의 소부장 으뜸기업과 강소기업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2030 으뜸기업 확대 계획'에 맞춰 울산 핵심 소부장기업 증대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리포트에서 김일환 울산테크노파크 단장(정밀화학소재기술지원단)은 '배터리 초연결 시대에 대한 울산 산업의 발전방향과 협업'을 주제로 울산 이차전지 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주요 방안으로 △현대차와 삼성SDI의 비즈니스 협력 △값싼 가격의 신규부지 제공 △노동환경의 유연성과 규제의 완화 △관내 혁신기관의 장비 및 인력의 질적 향상을 통해 양질의 기업지원 Play-ground(플레이 그라운드) 제공 등을 제안했다.
김 단장은 미래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원천 소재 개발이 요구되며 산업의 메가트렌드가 고집적화, 저전력화, 고기능화, 융복합화로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울산은 4대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정보전자소재, 이차전지소재, 바이오소재, 경량화소재 등 첨단소재산업의 구조고도화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강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