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지난 7일 지방(전문)대학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한 ‘대학 활성화 사업 추진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2025년부터 추진하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앞서 울산지역 대학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날 협의회는 울산시, 대학, 연구기관 관계자 등 11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 산업과 연계한 대학별 특성화 전략 수립 방안 등을 논의했다.
교육부가 주관하는 지방(전문)대학 활성화 사업은 비수도권 사립대학과 지방정부 간 동반관계를 강화하고, 지역 산업과 연계한 대학별 특성화 인재를 양성해 대학과 지역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 2천500억원이 투입된다.
울산지역에서는 울산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3개 대학이 이 사업에 참여한다.
시는 이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울산과학기술원, 한국폴리텍대학Ⅶ울산캠퍼스, 울산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등과 함께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해 대학별 대학혁신 특성화 계획 수립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이 대학혁신 특성화 계획을 자체 수립해 7~8월 중 교육부에 제출하면, 교육부에서는 평가를 거쳐 인센티브를 지급하게 된다.
이 사업은 2025년 시행 RISE에 앞선 지역대학 특성화 지원정책이다. 큰 의미에서 보면 RISE지원체계와 연계된 정책으로 볼 수 있다. RISE지원체계는 정부가 갖고 있던 대학지원 예산을 지방정부에 교부해 지역특성에 맞는 대학을 육성한다.
시는 RISE지원체계 준비 등 지역대학 활성화를 위해 이달 시행된 조직개편에 ‘미래교육혁신단’을 신설해 대응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2025년 본격적으로 도입될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추진을 위한 마중물 사업으로 지방(전문)대학 활성화사업을 추진하려고 한다”며 “지역과 지방대학이 원팀으로 지방대학과 지역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인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