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연구원이 출범 22주년을 맞아 지난달 30일 울산시청 2층 대강당에서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울산의 현안’을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김두겸 울산시장, 김기환 울산시의회 의장,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을 비롯한 지역 주요 단체·기관, 시민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심포지엄은 출범 1주년을 맞은 민선8기 울산시의 당면 현안이자 중점 시책인 탄소중립 도시 실현과 지역균형발전방안을 모색했다.
기조강연은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맡아 ‘울산의 탄소중립의 실현과 지속가능기업성장’을 주제로 진행했다. 양 전 장관은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 정책과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정책을 비교하고, 현재 울산이 맞고 있는 당면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했다.
양 전 장관은 “탄소 중립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지 않고는 세계시장에 설 자리가 없다”며 “울산의 모든 기업이 하루 속히 자발적으로 ESG경영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제1세션(탄소중립)과 제2세션(지역균형발전)이 각각 진행됐다.
탄소중립에 관한 세션1에서는 아시나 슈이치 일본국립환경연구소 평가부장이 ‘일본정부의 탄소중립 정책현황과 추진계획’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일본의 주요 조치인 ‘혁신기술 개발 및 도입 가속화, 저탄소기술 조기 최대 도입’ 등을 설명했다.
아울러 송궈준 중국인민대학교 교수가 ‘중국정부의 탄소중립 정책현황과 추진계획’을 주제로 중국의 쌍탄소(탄소중립, 탄소피크)정책을 분석하고 전망을 내놨다.
김준범 프랑스 트루아 공과대학교 교수도 세션1 주제발표를 통해 유럽연합의 탄소중립 정책과 전략을 소개하며 프랑스의 국가 저탄소 전략(SNBC)과 관련해 저감 및 절감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정량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등을 주장했다.
세션1에서는 서용원 UNIST 탄소중립대학원장을 좌장으로 신경숙 한중경제문화교육협회 이사장, 이병규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장, 차준기 울산시 공장장협의회 사무총장, 김희종 울산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장이 참여한 가운데 탄소중립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지역균형발전을 다룬 제2세션에서 이삼수 LH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균형발전의 정부정책과 과제’를 주제로 역대 정부의 균형정책을 평가하고 지역불균형 실태와 과제, 현 정부의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또 주제발표에서 울산연구원 정현욱, 이상현 실장이 각각 ‘울산 균형발전을 위한 개발제한구역(GB) 개선방향’, ‘민선8기 울산의 주요현안과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세션2에서는 오정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지역공약이행지원 특위 위원장을 좌장으로 김종섭 울산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이수식 울산시 환경정책 특별보좌관, 김정섭 UNIST 교수, 선우석 ubc 경영사업본부장이 참여하는 토론이 이어졌다.
편상훈 원장은 “심포지엄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과 지역균형발전을 앞당길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아이디어가 제시됐다”며 “울산연구원도 일익을 담당한다는 자부심을 갖고 정책연구와 교류활동, 정보 및 지식 공유에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인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