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지역 특수규격봉투 도입후 공사장 생활폐기물 대폭 감소
언론사 울산신문 조회수 884
작성일 2023-06-16 게재일자 2023-06-16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06500

 

 울산이 지난 20195톤 미만 공사장 생활폐기물 처리 방식을 '특수규격 종량제봉투'로 바꾼 이후에 처리량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특수규격 종량제봉투 사용으로 부피가 큰 폐기물의 경우 처리가 곤란해 불편을 호소하는 민원이 발생하고 있어 다량일 경우 차량을 활용해 직접 또는 운반·배출할 수 있도록 처리 방식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울산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장 김희종 박사에 따르면 울산지역 5톤 미만 공사장 생활폐기물 처리량은 201877,250톤에서 특수규격 종량제봉투 방식을 도입한 첫해인 20194352톤으로 감소 후 202013,550, 202114,659(2018년 대비 81% 감량)으로 획기적인 감량을 보였다.

 

 특수규격봉투 도입 전년인 2018년 울산의 공사장 생활폐기물 처리량은 전국에서 17.0%를 차지했으나 2021년 현재 전국 발생량의 5.3% 수준으로 낮아진 상태다.

 

 최근 4년간(2018~2021) 울산의 평균 생활폐기물 일일 발생량은 1,010톤으로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일일 발생량 46,458톤의 약 2.57% 수준임을 고려할 때 그간 과잉 배출되던 공사장 생활폐기물이 2019년 이후 정상 수준으로 회귀한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은 공사장 생활폐기물의 획기적인 감량으로 소각시설, 매립시설, 재활용품 선별시설 등 폐기물 처리시설의 부하량을 크게 줄였다.

 

 무분별한 차량 배출을 억제해 폐기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소각시설 등 폐기물 처리시설의 BTO(민간투자사업) 사용료 절감과 생활폐기물 매립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정책효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그러나 문전 수거 방식 도입으로 시민 편의성은 개선됐지만 한정된 크기의 특수규격 종량제봉투 사용으로 부피가 큰 폐기물의 경우 처리가 곤란해 불편을 호소하는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불연성 폐기물 중 폐콘크리트 등은 통상 99% 이상 재활용할 수 있으나 다른 불연성 폐기물과 혼합 배출돼 단순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 박사는 "싱크대, 변기 등 부피가 큰 대형폐기물은 신고 후 별도 배출하고, 이후 재활용품, 가연성폐기물, 불연성폐기물 등 순으로 배출하도록 교육·홍보할 필요가 있다""불연성 폐기물의 경우 서울시처럼 기존 특수규격봉투를 활용하면서 다량일 경우 차량을 활용해 직접 또는 운반·배출할 수 있도록 처리 방식을 고도화해 시민 편의성을 제고하고, 임시적환장 등을 두어 재활용 폐콘크리트 등을 분리·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지혁기자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