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해 전 울산이 국립한글박물관과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유치에 나선 적이 있다. 물론 울산 유치는 실패했다. 예상대로 두 곳 모두 수도권으로 갔다. 지방에 대한 홀대라는 지적이 이어졌고 그 이후 정부는 차후 국립문화시설 설립은 균형발전에 맞춰 하겠다는 입장과 기존 국립문화시설의 지방이전도 검토하겠다는 립서비스를 내놓기도 했다. 울산의 경우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국립문화시설이 없는 지역이다. 이와 관련 최근 울산연구원이 울산경제사회브리프를 통해 제언한 내용은 주목할 만하다. 울산연구원 김광용 박사는 울산에 국립문화기반시설을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지난 3월 발표한 ‘지방시대 지역문화정책 추진전략’에 따라 국립문화기반시설의 지방이전과 신규건립이 예정돼 있어 이를 울산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부는 문화시설 분산 정책에 따라 △국립충주박물관(2026년 개관 예정) △국립진주박물관(2027년 완공 계정) △국립디자인박물관(세종 건립 예정)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대전) △국립중앙도서관 국각문헌보존관 건립(평창)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지역에는 변변한 국립문화시설이 없어 문화갈증에 목마른 게 현실이다. 지난해 기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국립문화기반시설 부재 지역은 울산, 인천, 대전 등 3개 지역에 불과했다. 인천은 앞서 말한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이 개관을 앞두고 있고 대전은 2026년 상반기 전시관 기능이 있는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가 개관 예정이다. 결국 국립문화기반시설 부재 지역은 울산이 유일한 지역이 될 공산이 커졌다. 울산의 경우 시민 10.6%가 문화·여가시설 부족을 이유로 이주를 희망한다는 조사결과도 나와 있다. 최근 울산시립미술관에서 열린 ‘이건희 컬렉션’ 전시회의 누적 관람객 수가 10만명을 돌파하고 원도심이 관람객을 유입으로 상권이 살아났다는 이야기는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민선 8기의 문화정책이 ‘꿀잼도시 울산’이라면 이에 걸맞은 시설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울산은 현재 정부에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을 다시 타진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중앙투자심의의 벽을 넘지 못하는 상황이다. 단순한 경제논리로 문화관련 시설 유치를 반대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대부분의 지방 유치 시설이 경제논리보다 지역안배 차원에서 이뤄진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제대로 된 문화시설 유치는 도시의 품격을 올린다. 울산시가 바로 이같은 점을 중심에 두고 국립문화시설 유치에 총력을 기울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