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지역 베이비부머의 유출을 막기 위해 ‘특화형 전원주택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제기됐다.
정현욱 울산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장은 25일 발간한 울산도시환경브리프 119호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울산의 베이비부머 비중은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데, 퇴직 이후 인구 이동은 유입보다 유출이 많다. 지난 2021년 기준으로 울산 베이비부머 인구 이동 규모는 총 전입이 1만2479명인 반면, 총 전출은 1만4111명으로 1632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순유출 493명과 비교하면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울산을 떠나는 베이비부머는 저렴한 지가와 전원생활을 위해 경주(407명), 양산(75명), 밀양(53명) 등으로 향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 실장은 울산을 떠나는 베이비부머들이 토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자연환경이 양호한 곳을 찾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근거로 정 실장은 울산 베이비부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수요를 반영한 특화형 전원주택단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산은 해양 및 산악자원, 도심 인근의 개발제한구역 등 특화된 전원형 주택단지를 개발할 수 있는 곳이 많이 분포하므로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정 실장은 난개발 방지 및 기반시설을 고려한 ‘전원주택단지 조성 가이드라인’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현욱 울산연구원 실장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증가에 대응해 정부가 ‘한국형 은퇴자 주거복합단지의 사업 유형)과 시범 사업’ 계획 수립을 추진 중”이라며 “이를 활용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춘봉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