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시민이 체감하는 안전한 울산 실현'을 목표로 지역안전지수 개선계획을 마련해 추진한다.
지역안전지수는 행정안전부가 안전 관련 주요 통계를 활용, 교통사고·화재·범죄·생활안전·자살·감염병 등 지자체 6개 분야 안전수준을 5개 등급으로 계량화해 매년 공표하는 것이다. 1등급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뜻이다.
울산지역 안전지수는 제도가 도입된 지난 2015년 이후 대체로 하위권에 머물러 왔으나 취약분야를 중점 관리하면서 지난해 8개 특·광역시 중에서 4위에 진입했다.
특히, 화재 분야는 화재 사망자 수가 9명(2020년)에서 3명(2021년)으로 대폭 줄며 2개 등급이 상승했다.
울산시는 올해 안전등급을 상위권으로 끌어올리고자 안전지표 향상 사업을 발굴하고, 등급 하락 요인은 직접 관리하는 등을 통해 시민의 안전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에 기반 위험요인 분석 △위해지표(사망자 수) 감축계획 설정 △취약분야 맞춤형 개선 등 3개 전략에 6개 분야, 122개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비는 총 589억 원 투입된다.
먼저 과학적·체계적 지역안전지수 관리를 위해 재난안전통계를 활용한 각종 컨설팅 사업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화재 통계자료를 활용한 사고 분석·진단으로 맞춤형 개선사업을 발굴하는 '지역 안전수준 향상 상담(컨설팅)(화재분야)'에 참여한다.
울산빅데이터센터와 함께 최근 5년간 119 구급 신고현황을 활용한 '생활안전 위험요인 빅데이터 분석과제'도 추진된다.
지역안전지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요한 지표인 위해지표 감축을 위한 기준(가이드라인)을 설정했다.
교통사고 분야는 최근 3년간 평균 교통사고 사망자(41명)를 30% 이상 감축해 2등급을, 생활안전 분야는 전년도 구급건수(2,760건) 대비 10% 이상 감축해 3등급 이상을 당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울산시는 위해지표 발생현황을 매 분기별로 점검(모니터링)하여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작년 지역안전지수에서 4등급을 받은 생활안전, 자살 분야 등 취약분야에 대해서는 맞춤형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생활안전 분야는 119 구급 건수가 주요 지표이다. 울산지역은 주로 상해, 열상, 추락사고로 인한 건수가 많은 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산업단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폭발·추락·끼임사고 등의 예방에 필요한 국가산단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설립, 산업단지 소규모사업장 안전진단, 찾아가는 사업장 안전교육 지원 등이 실시된다.
자살 분야는 자살 사망자 수가 주요 지표이다. 울산지역은 주로, 남성 자살률이 여성보다 높고, 80대 이상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시는 자살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생명지킴이 양성 및 생명사랑 마을 운영 등을 통한 범사회적 자살예방환경 조성 등으로 24시간 정신응급대응체계 구축 등이 실시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안전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과 안전 감수성이 높아진 만큼, 시민 기대와 눈높이에 부응하도록 안전 정책을 세심히 다듬고 챙기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26일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울산시와 구·군, 울산경찰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교통안전공단, 안전보건공단, 울산연구원, 울산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지역안전지수 개선계획 보고회'를 개최했다.
강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