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한 울산 남울주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동해선 광역전철의 주요 역인 남창역을 중심으로 동-서 교통망을 확충하고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 신도시 조성에 성공해야 한다는 점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남울주의 개발제한구역을 활용해 울산공항을 이전한다면 부산권 이용객을 유치할 수 있는데다 현 공항이 위치한 북구지역의 발전도 도모할 수 있다는 대안이 제시돼 이목을 끌었다.
29일 울산시의회에 따르면 공진혁 행정자치위원회 부위원장은 김기환 울산시의회 의장, 서범수 국회의원, 김종훈 시의원, 울주군의원, 울산도시공사, LH공사, 남울주발전협의회, 각 이장협의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6일 시의회 1층 시민홀에서 '2023년 울주군 남부권 발전방안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 발제를 맡은 한삼건 울산대 명예교수는 "남부권 발전을 위해 교통망 확대 등 정주 여건 개선이 중요하고, 울산 동-서 도심을 연결하는 철도가 필요하다"면서 산업·연구단지, 해상풍력 클러스터 등 지리적 특성을 살린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부산-울산 광역철도, 동남권 광역철도 등 노선을 보면, 울산 동-서 간 생활권역 연결이 취약한 반면 부산에서 울산쪽으로 출퇴근 하는데 유리하도록 설계됐다"며 "광역철도를 활용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지역 내 대중교통 체계 개선과 관광·문화산업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남창역 중심의 강점을 활용한 개발이 필요한데,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대농지 규제를 풀어야 하는 것이 숙제"라며 "울산공항을 울주 남부권 개발제한구역을 활용해 이전한다면 편리한 접근성으로 부산권 인구를 수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변일용 울산연구원 박사도 토론에서 "기본적으로 역세권 중심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돼야 울주 남부권 개발의 밑그림을 그리는 것이 가능하다"며 "남부권에 해상풍력 클러스터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승완 울산시 도시균형개발과장은 "인구유입,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기반시설 확보와 남부권 읍·면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개발이 필요하다"며 "남부권 10만 신도시 조성을 위한 용역 중인데, 동해남부선, 국도 7호선 등 여건변화를 반영한 복합신도시를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원삼 울주군 도시과장은 "역세권을 주변에 물류산업 등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며 "군차원에서 남창역 중심으로 주거·물류·교육·복지·관광 등을 연계한 개발을 구상 중에 있으며 8월 전 의견수렴을 가질 계획"이라고 전했다.
토론회를 주관한 공진혁 의원은 "남울주는 상대적으로 더딘 발전과 인구 유출 등 여러 문제가 산적해 있다"며 "이런 자리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토론회를 계기로 향후 포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 울주군 남부권만의 특색 있는 개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서범수 국회의원도 남울주 지역의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주거환경, 일자리 등 종합적인 발전계획이 필요하다며 힘을 실었다.
고호근 울산도시공사 본부장은 "부산도시공사에서 개발한 오시리아 개발 모델을 거울삼아 울산 남부권의 발전방안 고민 중"이라며 "토론회 계기로 가속도가 붙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준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