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베이비부머 인구 비율이 14.4%(2021년 기준)로 인근 부산(15.7%) 다음으로 높아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한뒤 활동적인 노후생활을 보낼수 있는 특화형 전원주택단지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베이비부머는 6·25 전쟁 이후 출산율이 급격하게 증가한 1955년부터 1963년 출생자를 지칭(2021년 기준, 만58~66세)한다.
울산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정현욱 박사는 25일 '울산 도시환경 브리프'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울산 베이비부머 인구이동(전·출입) 규모는 총전입이 1만2,479명인 반면, 총전출은 1만4,111명으로 1,632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순유출 규모가 493명과 비교할 때, 3배 이상 증가했다. 울산에서 순유출이 큰 지역으로 경북, 경남, 경기도 순으로 조사됐다.
경북의 경우 2021년 전입이 709명이었으나 전출은 1,459명으로 전출이 750명이나 많았다. 2015년 경주로의 순유출이 272명인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중 경주(407명)로의 순유출이 가장 많았다.
울산에서 유출이 두 번째로 많은 경남지역은 양산(75명), 밀양(53명) 등의 순유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베이비부머 유출사유 중 주택사유가 전체 30.7%를 차지하는 것을 볼 때, 울산 인근지역으로의 전출은 토지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자연환경이 양호한 곳 등의 전원생활을 영위하기 좋은 곳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됐다.
전출사유중 가족이 26.8% 였고 직업이 22.6%로 집계됐다. 10명중 8명이 이들 세가지 사유로 전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점을 고려할 경우 울산 베이비부머의 타지역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베이비부머 수요를 반영한 전원형 주택단지 조성이 요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울산은 해양 및 산악자원, 그리고 도심 인근의 개발제한구역 등 지역만의 특화된 전원형 주택단지를 개발 가능한 곳이 상당히 많이 분포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정현욱 박사의 설명이다.
정 박사는 이에따라 난개발 방지 및 기반시설 고려한 '전원주택단지 조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중앙정부 추진사업과 연계할 것을 주문했다.
강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