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행정에 챗GPT 적용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공공기관 데이터 제공을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울산연구원 김상락 박사는 ‘울산경제사회브리프 138호’에서 울산형 챗GPT ‘(가칭)울산지식네비’ 구축을 제안했다.
생성형AI는 글자,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 기존 콘텐츠를 활용해 유사한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이를 응용한 도구가 챗GPT, 빙챗, 바드, 달리2 등이다.
김 박사는 “챗GPT 등 생성형 AI기술 확산에 따라 울산시 행정에 활용할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다”며 “행정분야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정책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는 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박사에 따르면 생성형AI의 행정분야 적용은 문서작성, 민원대응, 산업전략 수립, 도시계획 수립, 최적화된 교통망 설계, 도시성장 예측, 최적의 공공 디자인 설계, 도시재생, 기후위기에 대응한 최적의 도시설계, 건축양식 생성, 안전과 보안강화 등 매우 다양하다.
김 박사는 “생산형AI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의 제공과 데이터를 지식화할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기반작업은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울산형 챗GPT ‘(가칭)울산지식네비’로 구현하는 게 바람직 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김 박사는 “챗GPT 이용시 기술적 한계, 데이터 편향성, 기밀성, 개인정보 등 민감한 정보유출은 우려되는 부분”이라며 “상반기 중 발표되는 행안부 챗GPT 업무 활용지침을 준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인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