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10개교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비수도권 30개 대학을 골라 대학당 5년 동안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 선정을 앞두고 울산대를 비롯해 울산시·울산연구원·울산테크노파크·울산일자리재단·울산산학융합원의 실무자들이 머리를 맞댔다.
울산대학교는 교육부 ‘글로컬대학30 사업’ 시행에 따라 최근 5개 관계기관 실무자들을 초청해 글로컬대학 추진 사전회의를 가졌다고 7일 밝혔다.
회의에서 정부의 대학교육 정책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구조조정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해마다 5000여명의 고교 졸업생이 타지역으로 진학하고 있는 울산은 오히려 대학정원을 증원하는 방안을 사업 계획서에 담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참석자들은 “정부의 ‘글로컬대학30 사업’이 대학 생존과 지역 발전의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로 사업 선정을 위해 대학-지자체-지역 산업계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회의를 마무리했다.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각 대학으로부터 5쪽 이내의 글로컬대학 지정 신청을 받아 대학의 혁신 내용을 평가해 6월 중 최종 지정대학 수의 1.5배수를 1차 지정한다. 이어 9월초까지 본지정 실행계획서를 접수해 대학-지자체-지역산업체가 공동으로 수립한 실행계획서로 10월 최종 10개 대학을 선정한다. 차형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