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울산시의 산하 공공기관 구조조정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울산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위원장 문석주)는 24일 울산경제진흥원과 울산일자리재단을 통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울산경제진흥원 설립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원안 가결했다.
조례안 통과로 향후 울산경제진흥원과 울산일자리재단은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으로 통합돼 새롭게 출범한다.
개정조례안을 발의한 시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중소기업 지원과 지역의 고용안정 등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울산경제진흥원과 울산일자리재단을 통합해 단일기관인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으로 재편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새정부 지방공공기관 혁신기준’에 따라 지역 공공기관 혁신을 위해 울산연구원을 통해 조직진단을 실시, 지난해 말 기존 공공기관 6개를 3개로 통폐합키로 결정했다. 조직진단 결과 이들 6개 기관의 경우 기능 및 사업의 유사·중복성과 효율화 증진을 위해서 3개로 통폐합하는 것이 최적의 방안이라는 결과가 도출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선 울산문화재단과 울산관광재단이 통폐합돼 ‘울산문화관광재단’으로 새롭게 출범해 지난 20일부터 공식 통합업무에 돌입했다.
조직은 기존 2개 본부, 13개 팀, 77명에서 3개 본부, 9개 팀, 69명으로 축소 구성됐다. 재단은 기존 관광재단 18개, 문화재단 19개 등 총 37개 사업을 이어받았다.
이어 울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은 울산연구원에 흡수돼 이달 중으로 정식 운영에 돌입하게 된다. 흡수·통합으로 울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은 울산연구원 내 소속 부서화됐다.
명칭을 울산인재평생교육센터로 변경하고 기존과 그대로 평생교육직 7명을 포함한 총원 10명을 운영한다.
센터는 울산시민을 위한 평생교육과 장학사업 등 업무와 기능을 유지한다. 시도별로 지정된 평생교육진흥원의 역할도 이어간다. 센터는 지난 4일 울산시로부터 ‘울산평생교육진흥원’ 운영기관으로 지정됐다.
마지막으로 남은 울산경제진흥원과 울산일자리재단의 통합 역시 이날 조례가 통과되면서 향후 해산과 청산 등의 통합 절차를 밟게 된다.
민선 8기 울산시는 앞서 지난해 시범적으로 복지 분야 공공기관 효율화를 위해 울산여성가족개발원과 울산사회서비스원을 ‘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으로 통합해 올초 출범시켰다.
시 관계자는 “울산경제진흥원과 울산일자리재단의 통합까지 사실상 마무리된 만큼 정부 공공기관 혁신 방향에 맞춰 공공기관 비효율성은 제거하고, 핵심사업은 계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면서 “이번 통폐합으로 절감된 120억원 이상의 예산은 시민 복리증진을 위한 사업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