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동구는 시내버스 노선개편에 대한 동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토론회를 마련했다.
동구는 29일 동구청 5층 중강당에서 김종훈 동구청장을 비롯해 구의원, 시민단체, 지역 주민 등 약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승길 울산연구원 연구위원을 비롯해 윤혜빈 구의원, 이은주 동구살리기주민대회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 오현일 학성버스 노조위원장, 최호헌 교통행정과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토론회에서는 다양한 질의가 오갔다.
최호헌 동구 교통행정과장이 토론에 앞서, 울산시가 현재 추진 중인 시내버스 노선 개편안에 대한 현황 설명을 했다.
최호헌 과장은 "울산시가 추진 중인 개편안에 따르면, 동구의 시내버스 노선은 현재의 33개 노선에서 25개 노선으로 줄어들며, 동구 주민들이 그전부터 지속적으로 요청해 온 아산로 및 울산대교 경유 버스노선 신설은 반영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윤혜빈 의원은 "대중교통 문제는 효율성이 아닌 복지 측면에서 이뤄져야 한다. 특히 동구는 교통인프라가 빈약한데, 교통 약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울산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 주민토론회가 29일 울산 동구청 중강당에서 열린 가운데 참석자들이 노선개편 촉구를 위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울산 동구 제공
이은주 동구살리기주민대회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은 "폐선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아산로 방면 133번 노선을 존치해야 하며, 봉수로 노선 확대가 필요하다. 또 교통약자에 대한 울산시의 교통복지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현일 학성버스 노조위원장은 "타 시도의 경우 권역별 환승체계를 구축해 있다. 동구의 경우 성내 쪽에 환승센터가 필요하다. 그리고 시의 개편안대로라면 전체 시내버스 중 1/3이 좌석버스가 되는데 교통비 부담도 늘어날 것이다"며 "마을버스부터 순차적으로 무료화하는 방법으로 울산 시내버스 무료화를 시행한다면, 주민들의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돼 지역 전체에도 활기가 돌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김종훈 동구청장은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과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교통약자를 배려한 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주민 의견을 잘 수렴해 우리 주민들의 대중교통 이동성 향상과 공공성 강화를 담보할 수 있는 최종 개편안으로 수정될 수 있도록 울산시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서승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