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들이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뛰어든 가운데 울산시도 이달 하순부터 차별화된 전략 수립에 본격 나선다.
기회발전특구는 비수도권 시·도가 제출한 조성안을 심사해 특구를 지정한 뒤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로 특구 중심의 특화산업 집적화와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한다.
민간 투자자에게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미국 기회특구 제도에서 착안한 것으로 한국의 기회발전특구는 파격적 인센티브와 지방주도 운영이 특징이다.
1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시는 빠르면 다음주중으로 울산연구원과 협액을 맺고 기회발전특구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
용역은 울산테크노파크와 지역사업평가단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다.
2억5,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용역은 오는 10월까지 특구 지정신청을 위한 지역현황·산업 육성 전략·기업투자 지원 계획·규제 특례 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것이다.
울산시 등은 우선 상반기내에 기회발전 특구 입지와 수소, 제조ICT, 이차전지 등의 산업 영위업체를 중심으로 투자계획을 담은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반기중 기본계획을 마련해 놓고 서류 제출전 나머지 기간 이를 보와하겠다는 게 울산시의 구상이다.
기회발전 특구신청은 지자체가 직접 특구를 지정해 정부에 수시 신청하는 방식이다. 이전 기업에 대해서는 소득세와 법인세 5년간 100% 감면과 이후 2년 동안 50% 감면이라는 파격적인 혜택을 주는데다, 이전 기업 종사자는 주택 특별공급 혜택도 받을 수 있어 전국 지자체들이 사활을 걸고 있다.
정부는 일단 특구 상한면적(광역시 150만평)과 3년 이내에 착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기준만을 제시해 놓고 있는 상태다.
산업부는 빠르면 내달 중 기회발전특구에 대한 최종 지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지침이 확정되면 울산시 등을 기본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도록 수소, 제조ICT, 이차전지 등의 전략사업 중심으로 산업 및 입지 분석, 기업의 투자의향, 규제특례 등에 대한 사전 조사를 완료한다는 목표이다.
정부가 주요 투자기업(앵커기업)과 협력업체 등이 직접된 클러스트 형성을 권고하고 있어 기회발전특구 성공을 위해서는 앵커기업 유치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앵커기업 유치를 위한 협의는 지속적으로 추진중이고 특구 정부지침이 확정될 경우 신속하게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