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부산·대구·경남·경북 등 5개 시·도가 영남권 경제 공동체 실현을 위한 밑그림인 '광역발전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들 5개 시·도는 지난 24일 오후 울산발전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영남권 경제 공동체 실현 기본구상' 광역발전계획 수입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갖고 추진배경과 새로운 영남권 발전 패러다임 창안, 기본 방향 및 향후 추진일정 등을 마련했다. 새로운 동북아 중심 경제권을 목표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비대화되는 있는 수도권에 대응하는 '영남권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첫발을 내디딘 셈이다. 올 10월 말까지 완료할 계획인 '영남권 경제공동체 실현 기본 구상' 기본계획 용역은 영남권 5개 시·도의 지원 하에 울산발전연구원을 비롯해 부산, 대구, 경남 등 4개 발전연구원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된다.
이번 용역의 핵심과제는 영남권 시·도 간 산업연계 가능성 검토를 비롯해 잠재력 분석과 광역교통망 구축방안, 문화관광연계협력 방안, 인력양성 및 상호협력 방안, 10대 핵심사업 발굴, 행·재정계획 및 추진 로드맵 마련 등이다. 용역에서는 특히 '선 국가, 후 지방'의 기존 발전 방식에서 영남권 경쟁력을 국가 경쟁력과 대등한 선상에 놓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토대로 상생과 화합의영남권 경제공동체 실현을 국가정책의 어젠다로 채택되도록 기본 계획을 세울 방침이다. 하지만 그동안 영남권의 공동보조를 깨뜨렸던 동남권 신공항 입지 문제가 4.11 총선과 연말 대선을 앞두고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다시 부각되고 있어 경제공동체 구축의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최성환기자 cs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