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울산역 개통 1년]연계 교통망·역세권 조성 시급 | ||||||||||||
<5·끝> 도시경쟁력 강화로 이어져야 역세권 개발·관광인프라 활용 등 과제 도로·철도 추가 개설 연계교통망 확충 거점형 종합 비즈니스 도시 육성 지적 | ||||||||||||
| ||||||||||||
하지만 지지부진한 역세권 개발과 인근 관광 인프라 활용 등 KTX 울산역이 울산의 도시경쟁력으로 이어가기 위한 과제 역시 남겨놓았다. 고속철 개통을 계기로 관광산업을 육성한 독일 베를린과 쾰른, 첨단 산업을 유치해 산업 재편에 성공한 르망, 편리한 복합환승센터와 역세권을 조성한 프랑스 릴 등이 좋은 본보기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KTX 개통을 통해 가장 크게 성장할 도시 가운데 하나로 울산을 들었지만, 성공을 위한 관건은 도심에서 떨어진 현 역사와 연계 교통망을 구축하고 역세권을 체계적으로 조성하는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울산시가 지난달 24일 KTX 울산역 개통 1주년을 맞아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전 한국교통연구원 원장인 황기연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KTX 울산역이 도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역세권 중심의 지역 거점형 종합 비즈니스 도시로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거점도시에서는 역세권 범위의 확대 및 초고밀 개발을 허용하여 대규모 경제활동을 집적시키고 복합환승센터 및 주변과의 연계교통망 건설을 통해 지역 중심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거점도시 건설을 신속히 하기 위해 KTX 역세권의 토지이용규제를 완화시키고 중앙정부의 획기적 재정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정현욱 울산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역세권 중심도시인 언양과 주변지역 간의 연계성을 강화, 역세권 중심도시로 유동인구와 유입인구가 증가토록 함으로써 새로운 광역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울산역 인근 및 서부권의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역사문화조성 등 특화된 관광자원의 개발, 산업도시 울산의 특성을 반영하는 자동차 및 산업전시 공간, 아울렛 등 특화된 상업쇼핑기능을 입지시켜 복합관광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이와 관련 울산도시공사는 역세권 주변으로 가지산·신불산을 중심으로 한 산악관광자원, 반구대암각화·천전리각석·박제상유적·언양읍성·검단리유적 등의 역사문화관광자원, 통도사·석남사·내원사 등 불교문화관광자원 등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관광자원들이 밀집해 있다는 점은 큰 장점이라고 밝혔다. 울산역을 광역경제권 교통거점지역으로 육성하기 위해 도로(도시외곽도로~울산역) 및 철도(덕하역~울산역)의 추가 개설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울산역은 서측으로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35호선, 북측으로 울산선 고속도로와 국도 24호선이 동서를 통과하고 있는 등 편리한 광역접근체계를 갖추고 있다. 게다가 고속도로(함양~울산, 울산~포항, 언양~영천), 국도 35호선 우회도로(삼남~상북~두서) 건설, 율리~상작간 도로개설, 양산 북정역~KTX 울산역~울산 신복로터리까지 총 연장 41km의 경전철 건설 등이 검토되고 있어 광역 경제권을 선도할 사통팔달의 교통중심지로의 탈바꿈이 기대돼 일대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 역세권 중심 광역도시권 설정을 위한 광역도시계획의 법적 근거마련과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행정적·제도적 지원 등도 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무엇보다 핵심은 역세권의 고밀도 복합개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년부터 본격화되는 울산역 복합환승센터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이다. 전체 사업비의 90%를 민간자본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재정위기 속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울산역 개발의 바로미터가 된다는 점에서 차질없는 추진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맹우 울산시장은 “울산역을 중심으로 교통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교통허브로 육성함은 물론 역세권 개발을 가속화시켜 동남내륙권 중심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형욱기자 shin@ksilbo.co.kr |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제목 | [KTX 울산역 개통 1년]연계 교통망·역세권 조성 시급 | ||
언론사 | 경상일보 | 조회수 | 6283 |
작성일 | 2011-11-04 | 게재일자 | 2011-11-04 |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9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