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집중기획-울산 본점 금융기관 설립하자 <2>운용방안은
언론사 울산매일 조회수 5760
작성일 2011-11-03 게재일자 2011-11-03

http://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8037
집중기획-울산 본점 금융기관 설립하자 <2>운용방안은
지역기업서 자본금 조달 산업연계 특화
기업과 유대관계 기반 장기계약 가능
경남도와‘민영화 경남은행’공동인수 후
지주회사 전환해 자회사 설립 의견도
[1면]의  기사보기 JPG.gif PDF.gif paperView2.gif
img_scrap.gif facebook.gif twitter.gif me2day.gif yozm.gif
newsdaybox_top.gif 2011년 11월 03일 (목) 김영수 기자 btn_sendmail.gif1116su@iusm.co.kr newsdaybox_dn.gif
울산에 본점을 둔 금융기관이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틈새시장을 공략할 특화된 금융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다. 이런 이유로 울산상공회의소와 한국은행 울산본부는 지역 기업체들로부터 자본금을 조달해 외환이나 수출입업무 등 기업금융에 특화된 은행을 설립하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입장이다.

한국은행 울산본부 관계자는 “수도권 은행들과 금융거래를 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지역기반 금융기관 설립에 자본참여를 하게 되면 금융거래의 상당부분을 지역에서 수행할 수 밖에 없어 잠재적인 수요는 충분할 것”이라며 “선박금융, 자동차 캐피탈, 무역금융, 벤처캐피탈 등 지역산업과 연계된 특화금융을 통해 타 지역과 차별화 한다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학계와 지역 금융계도 지역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관계지향적 대출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잘 활용하면 지역 기반 금융기관이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조언한다.

지역 금융계 관계자는 “지역에서 쌓은 다양한 정보와 경험은 지방은행의 가장 큰 장점으로 시중은행들이 진입하기 어려운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중요한 무기가 된다”며 “지역 기업과 금융기관이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통해 일반 은행보다 비교적 장기적인 계약을 할 수 있게 되면 자금수요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이익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 울산의 본점을 둔 지방은행 형태의 금융기관을 설립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될까? 울산발전연구원 이은규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25일 열린 ‘울산금융산업 발전 및 국제금융도시 구축방안’ 세미나에서 지역에 기반을 둔 금융기관 설립에 대한 2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안은 상공회의소가 중심이 돼 기업인과 시민들로부터 자본금을 조달해 독자적인 금융기관을 만들자는 것이다. 최소자본금 규모는 지난 1982년 설립된 신한은행을 참조해 1,000억원 내외로 산정했다.

은행업의 인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은행법 제8조를 보면 은행 설립에서 가장 중요한 최저자본금 규모는 지방은행의 경우 250억원으로 정해져 있다. 시중은행의 최저자본금이 1,000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25% 수준이다.

한국은행 울산본부와 울산상의 관계자는 “지역 전체 기업들이 금융기관 설립에 6만8,000개사 가운데 1만개사가 1,000만원씩만 출자해도 충분히 자본금을 조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 안은 경남은행이 민영화 절차에 들어가면 경상남도와 공동인수한 후 ‘경남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해 경남에는 경남은행, 울산에는 울산은행을 자회사로 두는 1지주사 2은행체제를 유치하자는 내용이다.

이와 별도로 금융계 일각에서는 은행과 같은 제1금융기관보다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 같은 제2금융권에서 울산이 본점인 금융기관을 집중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이은규 부연구위원은 “울산에 기반을 둔 금융기관 설립은 자본금 조달을 비롯해 인적·물적 기반마련에 긴 시간과 법적절차를 거쳐야 되는 만큼 관련기관들이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