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통행속도 개선되고 녹색교통 확대된다
언론사 울산제일일보 조회수 6904
작성일 2011-10-27 게재일자 2011-10-27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72297

통행속도 개선되고 녹색교통 확대된다
울산시 2031년 목표 도시교통정비계획안
newsdaybox_top.gif 2011년 10월 26일 (수) 20:47:57 이주복 기자 btn_sendmail.gifjb1105@hanmail.net newsdaybox_dn.gif
오는 2031년 울산 전체가 동서7축, 남북9축의 사통팔달형 네트워크형 교통망으로 구축되고 철도와 자전거 등 녹색교통의 수송분담률이 크게 확대된다. 울산시와 울산발전연구원은 2031년까지 31조8천216억원(국비 68.6%, 시비 19.0%, 민자 12.3%)을 들여 2010년 대비 도로 713.2㎞와 철도 241.2㎞ 추가 확장 등을 골자로 하는 울산 도시교통정비계획안을 마련했다.

◇대중교통

시내버스의 도심 평균 통행속도를 시간당 20.3㎞에서 28.9㎞까지 향상시킨다. 남부권, 언양권 공영차고지 조성과 버스전용차로 도입, 광역철도와 연계된 신교통수단 도입, 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전기·수소버스 도입 및 충전시설 확충 등을 추진한다. 또 서비스 개선을 위해 수요대응형 버스 및 광역환승할인요금제 도입, BIS가 울산 전역으로 확대된다.

지속적인 주차장 확충과 화물차공동차고지 추진 등으로 주차장확보율을 현재 101%에서 120% 수준으로 확대한다. 대중교통 및 녹색교통 이용을 활성화해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현황 17.1%에서 목표 27.1%로 10% 증가시키고, 녹색교통(보행, 자전거) 수단분담률은 28.7%에서 31.4%까지 높인다.

교통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본격적인 교통수요관리를 시행해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배출전망치 대비 36.5% 감축하고, 승용차 수단분담률도 현황 37.9%에서 30.4%로 7.5% 감소시키고 승용차요일제 참여율을 30%까지 향상시킨다.



◇광역교통

부문별로는 광역교통인 국가기간 도로망은 339.6㎞에서 445.1㎞가 늘어나 2031년 789.7㎞로, 철도는 586.4㎞에서 241.2㎞가 늘어나 827.6㎞까지 연장된다.

광역교통 인프라 확충을 위해 단기에 울산~포항간 고속국도를 비롯, 9개 노선, 국도7호선 등 중기 8개 노선, 장기에 2개 노선을 확장 및 신설한다.

또한 단기에는 동해남부선을 비롯한 3개 노선을 개량 및 신설하고 중기에는 울산~양산간 광역철도, 장기에는 덕하~삼랑진 일반철도가 신설된다.

교통 결절점의 이용편의 도모를 위해 단기에 울산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개발하고 언양시외버스터미널은 이전을 검토한다. 중기에는 태화강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개발하고 울산고속·시외버스 운행시간 단축을 위해 도로망과 주변여건 등을 고려해 언양권 또는 북부권에 터미널 이전이 검토되고 있다.



◇도심 도로망

현재 1천814.4㎞에서 2천94.9㎞로 268.1㎞가 확충된다. 도시기본계획 상의 동서4축×남북6축의 도로계획(안)을 동서7축×남북9축에 2라운드(도심순환 및 도시외곽순환도로) 네트워크형 교통망을 구축한다는 방안이다. 동서축으로 국도24호선~강남로~방어진, 삼남~삼동~온산, 외곽순환도로의 3개축을, 남북축으로 삼남로(국도35호선), 포항고속국도~부산·울산고속국도, 외곽순환도로(국도31호선) 3개축이 추가됐다.

친환경 녹색교통 중심의 도시환경 구축을 위해 자전거도로망을 2010년(283.2㎞)보다 442.1㎞가 늘어난 725.3㎞까지 확장한다. 도심지역 보행과 자전거 이용을 적극 유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자전거 인프라를 확충하고 보행자 전용지구, 보행우선구역 등을 조성해 걷고 싶은 도시 사람 중심의 교통 환경을 조성한다.

교통수요관리기법을 통한 불필요한 승용차 통행을 억제하기 위해 단기에 자동차 공동 이용제를 도입하고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공회전 제한장치 등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다.

도시의 쾌적성 향상을 위해 주차장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며 주차상한제, 차고지 증명제 등을 도입해 주차수요관리와 맞춤형 주차정보체계가 구축된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체계 구축 및 편안한 교통환경 조성을 위해 기능 및 축별 교통개선과 도로점용 공사 중 교통관리를 시행하며 시설개선 및 안전교육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기타 스마트하이웨이구축, 교통연수원 건립, 도심지역 화물차량 통행제한 등도 제시됐다.

이주복 기자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