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교통관련, 공청회가 있을 때마다 등장하는 이슈가 울산 시외·고속버스터미널을 시가지에서 시 외곽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도심교통의 만성적인 정체 주범으로 꼽히고 있는 것이 터미널이다 보니 시민 누구나 공감하는 부분이다. 그런데 이 문제가 교통난 해결 방안으로 제시만 됐지, 이를 관철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에는 나서지 않고 있다. 지난 26일 열린 '도시교통정비계획안' 공청회에서도 이 문제는 다시 제기됐다. 시의 용역을 의뢰받은 울산발전연구원은 이날 "현재 남구 삼산동에 있는 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2021년까지 KTX울산역 인근의 울주군 언양권이나 신흥주거지인 북구권으로 이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도심교통난 해소와 도시의 균형발전 차원에서 가장 긴급한 사안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울산시의 입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송병기 교통건설국장은 "터미널이 도심에 위치해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토지이용 측면에서 불합리하다"고 했다.
용역을 의뢰받은 울산발전연구원이나 교통행정 전문가가 아닌 일반 시민들도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내용이다. 공청회 자리에서 이 같이 뻔한 말이 또 나왔다는 것 자체가 이제는 짜증스럽다. 현재의 고속·시외버스터미널로 옮겨왔던 지난 2002년부터 제기돼 왔다. 그러다가도 막상 이를 공론화하려면 부지 소유권자인 롯데쇼핑에 특혜를 줄 수 있다는 비판여론에 묶여 진전을 보지 못했다. 이 시설은 롯데쇼핑이 민자로 준공했으며, 부지와 시설물의 소유권이 롯데쇼핑에 있다. 당시 울산시는 롯데쇼핑에 백화점과 호텔 건축을 허가해주면서 터미널을 끼워 넣었다. 이것이 지금에 와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족쇄가 되고 있다. 현재 터미널 부지는 10년 전과 달리 울산의 상업중심지다. 이를 다른 용도로 개발할 경우 엄청난 시세차익을 남길 수 있어, 특혜 논란을 부를 수 있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개발이익금환수 등 다른 방법으로 풀면 된다. 그렇지 않고 특혜 시비가 무서워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면 이는 교통행정을 방기하는 것과 다름없다.
울산터미널 일대는 현재 교통정체의 핵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주말이나 백화점세일 기간에는 주변 도로 전체가 거대한 주차장으로 변하고 있다. 게다가 도심 한 가운데를 고속·시외버스가 관통하는 도시는 울산이 아닌 전국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 울산은 지금껏 이 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2021년까지 옮기겠다는 것도 한가하기 짝이 없는 발상이다. 지금 당장 이전해도 시원찮을 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