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업무·관광거점 확충 | ||||||
KTX 울산역 개통 1주년 심포지엄 토지규제 풀고 정부지원 필요 문화·정보·교류·교통 중심지로 쇼핑·의료 외지유출 크지 않아 | ||||||
| ||||||
또한 지난 1년간 울산역 이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빠른 교통을 이용한 쇼핑과 의료 등 외지유출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울산발전연구원과 공동으로 24일 오후 시청 의사당 3층 대회의실에서 교통, 경제, 관광, 학계, 공무원 등 각계의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KTX 울산역 개통 1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열고 도시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황기연 교수는 ‘KTX와 국토 공간구조’라는 기조연설에서 “전 세계적으로 고속철도 건설이 가속화 되고 있다”며 “빠른 교통시설은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을 촉진하게 되고, 수도권 비대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빨대효과 상쇄를 위해서는 KTX 역세권 중심의 지역 거점형 종합 비즈니스 도시를 건설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KTX 역세권의 토지이용 규제 완화와 정부의 획기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최진석 연구위원은 ‘KTX 경제권의 형성과 지역발전’ 주제발표를 통해 KTX 기반 지역 발전 방안과 관련해 “역사 기능을 미래 지향적으로 변화할 필요성이 있어 복합환승시설+문화·정보·교류의 장+녹색교통의 허브로 성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개발 주체간 협력과 역할분담을 강조했다. 울산발전연구원 정현욱 부연구위원은 ‘KTX 개통에 따른 울산 도시 경쟁력 강화방안’ 주제발표에서 “KTX 울산역 개통 이후의 변화와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하루평균 1만 명 이상 이용하며, 경제적 혜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쇼핑과 의료에 있어 역류효과는 없고 관광 목적의 KTX 이용객이 점차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역세권 인근 지역에 역사문화공원 조성, 자동차 전시체험 공간 마련, 아울렛 입지 등을 통해 복합관광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주복 기자 |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제목 | 역세권 업무·관광거점 확충 | ||
언론사 | 울산제일일보 | 조회수 | 6050 |
작성일 | 2011-10-25 | 게재일자 | 2011-10-25 |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7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