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흩어진 울산유물 고향으로 되돌아온다 | ||||||||||||||||||
울산박물관 위임기관 지정...국가문화재 보관·관리키로 병영성 성곽 내 분청사기 등 유물 895점 이관작업 진행 | ||||||||||||||||||
| ||||||||||||||||||
전국에 흩어져 있는 울산 출토유물을 고향 울산으로 가지고 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울산박물관(관장 김우림)은 지난달 문화재청으로부터 울산지역에서 발굴조사한 2개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 총 895점에 대해 울산시가 ‘국가귀속문화재 보관ㆍ관리기관(위임기관 울산박물관)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이번에 울산박물관으로 돌아오는 유물은 대동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2007~2009년)한 울산 모듈화 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출토유물인 석검 등 882점, 울산발전연구원이 발굴조사(2010년)한 울산 병영성 성곽정비사업구역 내 출토유물인 분청사기 등 13점이다. 울산박물관은 이에 따라 4일부터 울산발전연구원에서 발굴조사한 울산 병영성 성곽정비사업구역내 유적 출토유물을 시작으로 울산출토유물의 이관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울산지역에서 출토된 모든 매장문화재는 국립김해박물관으로 국가귀속 조치됐다. 하지만 문화재보호법 제62조,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동법 시행령 제20조, 국가귀속문화재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개정(2011년 3월)에 따라 울산시도 국가귀속문화재를 위임하여 관리할 수 있는 ‘국가귀속문화재 보관ㆍ관리기관(이하 보관ㆍ관리기관)이 됐다. 또 국가귀속문화재의 보관ㆍ관리 위임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해서는 제1종 박물
‘보관ㆍ관리기관’은 문화재청이 국가귀속문화재의 보관ㆍ관리를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한 것으로 지금까지 국립기관에 집중됐던 문화재 보관ㆍ관리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관관리기관의 ‘다원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김우림 울산박물관장은 “전국에 있던 7만여 점의 울산출토유물이 울산으로 돌아올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진 중요한 일”이라며 “문화재청과의 직접적인 협의를 통해 울산박물관이 보관·관리기관이 돼야 함을 피력한 결과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재명기자 |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제목 | 전국에 흩어진 울산유물 고향으로 되돌아온다 | ||
언론사 | 경상일보 | 조회수 | 7418 |
작성일 | 2011-08-05 | 게재일자 | 2011-08-05 |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