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광역두만강계획 적극 참여해야”
언론사 경상일보 조회수 9121
작성일 2011-06-09 게재일자 2011-06-09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4670
“울산, 광역두만강계획 적극 참여해야”
동해안 발전포럼 열려 미래먹거리 확보 차원
진전된 접근방안 촉구
newsdaybox_top.gif 2011년 06월 08일 (수) 21:43:59 신형욱 기자 btn_sendmail.gifshin@ksilbo.co.kr newsdaybox_dn.gif
   
 
  ▲ 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5회 동해안발전포럼 개회식에서 울산시 오동호 행정부시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미래 먹거리 확보 전략 차원에서 울산을 포함해 동해안권 국내 4개 시·도 등이 참여하는 광역두만강계획(GTI)에 울산의 좀 더 진전된 참여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북한의 나진 선봉, 중국의 훈춘, 러시아의 포에트 그리고 더 넓게는 북한 청진, 중국 연길,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을 연결하는 광역두만강개발계획은 최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으로 주변국으로부터 더욱 주목받고 있는 지역이다.

8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최문순 강원도지사를 비롯해 임종룡 기획재정부 차관, 오동호 울산시 행정부시장, 이삼걸 경북 행정부지사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역두만강개발계획에 대응한 동해안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제5회 동해안 발전포럼이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유럽지역간 협력모델이 GTI에 주는 시사점’으로 주제발표에 나선 울산발전연구원 강영훈 박사는 “두만강 주변국은 지하자원이 풍부한 등 울산이 미래 먹거리 확보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에너지와 물류, 지하자원, 관광, 과학기술 및 학술교류 등 분야에서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 박사는 “GTI에 참여하는 몽골 등은 지하자원 개발여력이 없어 동해안 4개 시도가 개발에 참여, 일정 부분의 물량확보가 가능토록 한다면 물류비와 원료비 절감 등 지역 기업의 경쟁력 강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지역간 인적교류가 안되면 관계 자체가 단절될 수 있는 만큼 학술교류 및 과학기술교류등으로 지속적인 관계개선에 나서면서 상호간 공동이익을 창출하는 윈윈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오 부시장은 포럼 인사말에서 “GTI 지역은 중국과 몽골의 동해 출구전략, 러시아는 아·태지역 진출, 북한의 나선경제특구 등 이해관계가 만나는 곳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하는 차원에서라도 대륙철도(TKR, TSR) 연결사업, 동해안의 기본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 부시장은 특히 “이런 현안과제 해결을 위해 중앙정부의 주도적 추진 아래 지방정부나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며 “울산 등 동해안 지역은 GTI를 유라시아로 진출하는 교두보로 확보하고 신동북아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발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형욱기자 shin@ksilbo.co.kr



◇광역두만강계획(Greater Tumen Initiative)= 1990년 7월, 유엔개발계획(UNDP)이 주도한 중국, 북한, 러시아의 접경지대인 두만강 하류지역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개발을 위한 다국간지역개발협력사업인 두만강지역개발계획(TRADP)에 기초해 추진되는 정부간 협력체계다. TRADP 10년간의 사업기간을 만료하는 시점인 2005년 개최된 제8차 5개국 조정협의위원회 회의에서 사업 10년 연장과 함께 TRADP 범위가 몽골과 한국의 울산 등 동해안 4개 시·도까지 사업지역이 확대됐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