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결정 안돼”반발 기류 | |||||||||||||
과학비즈니스벨트 대전 유력설 흘러나와 |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최종 입지 선정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대전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흘러나오는 것과 관련, 지역에서 정치적인 결정이라는 등 반발 움직임이 일고 있다.
울산발전연구원 김문연 경제사회연구실장은 “너무 정치적으로 고려한 결과”라며 “대전·광주·대구의 삼각벨트는 최악이라고 했던 과학자들의 주장과도 배치된다”고 했다.
동남권 신공항에 이어 과학벨트도 이 같이 결론 난 것과 관련, 김 실장은 “정부가 계속 이런 결정을 내린다면 수도권을 제외한 기존의 후발주자는 앞으로 어떤 국책사업도 할 수 없게 된다”며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울산의 경우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울산의 경우 포항이 거점지구로 선정되면 기능지구로 역할을 기대했지만 물거품이 된만큼 연구단이라도 최대한 많이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김 실장은 “대학이나 연구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울산은 R&D 예산 확보 문제에서 가장 불리한 위치”라며 기업생산성에 비례해 R&D 예산을 지원하는 등 틀을 깨야 한다고 주장했다.
R&D분야 정부예산 확보를 위해 시민들도 적극성을 띠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R&D 예산이 최하위일 뿐 아니라 성장률도 최악으로 지금 잘 산다고 안심할 일이 아니다. 5년, 10년 후면 성장률이 조금만 차이나도 충청도에 밀리게 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과 함께 시 차원의 정책에 시민들도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풍토 조성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앞으로 R&D에 불리한 지역여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근 지자체와 공동대응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연구원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최종 입지가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이 아닌 만큼 입장을 밝힐 상황은 아니다”고 말을 아끼는 가운데 “정부의 공식발표에 따라 경북·울산·대구가 공동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울산의 경우 포항이 거점지구로 선정되면 지역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 만큼 아쉬움이 크다”며 “50개 가운데 25개를 분산배치할 것으로 알려진 연구단은 지역여건을 감안해 최대한 많이 유치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과학벨트 최종 입지는 16일 오전 7시 입지평가위원회 회의와 오전 9시 국제과학비즈니스위원회 회의를 거쳐 오전 중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