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하동원)은 향후 창조도시 울산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줄 울산광역시 시립도서관 건립과 관련한 울산시 대표도서관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제안하고, 더불어 공공도서관 운영방안을 모색한 이슈리포트 32호 『 울산광역시 공공도서관 운영 체계 개선 방안 : 울산광역시 시립도서관 역할 모색』을 발간함
□ 보고서는 공공도서관이 정보를 수집․저장․제공하던 단순한 역할에서 지역문화와 평생교육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에 주목함
□ 공공도서관이 학생 대상의 교육기능보다는 지식관리․문화공간의 기능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고, 가족 중심의 이용자가 주를 이루는 점을 고려할 때 도서관 운영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원화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함
- 단, 운영의 효율화 명목으로 공공도서관이 갖는 최대의 가치인 공공성과 형평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해야 함
- 따라서 공공 서비스 향상의 관점에서 당장은 어렵더라도 중장기적으로는 모든 공공도서관을 자치단체가 직영하는 것이 도서관의 정체성 확립과 지식정보공동체 문화서비스 측면에서 바람직함
□ 이에 따라 향후 설립될 울산광역시 시립도서관은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정책추진체계 및 광역단위의 성인대상 평생학습기능 강화, 도서관 지원기반 확대를 위한 파트너십 구축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
- 울산광역시는 청년창업센터, 평생교육진흥원, 울산시민대학, 울산공무원교육원 등 교육․문화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조직을 구성하여 시립도서관이 창조도시 울산의 브랜드 가치와 품격을 제고하는 대표도서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함
> 알림마당
> 언론이 본 연구원
언론이 본 연구원
제목 | 울산광역시 시립도서관은 새로운 복합문화교육공간으로 특화해서 설립․운영해야 | ||
언론사 | 보도자료 | 조회수 | 9024 |
작성일 | 2011-06-13 | 게재일자 | 2011-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