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창의적 문화예술교육 위한 ‘교육공간 확충’ 필요
김상우 박사 / 경제사회연구실
<현황 및 분석>
○ ‘공간은 제3의 교사’, 문화예술교육에서 공간 환경의 중요성 부각
○ 많은 교육 참여자, 좁은 교실… 열악한 울산 문화예술교육 공간 환경
<시사점 및 제언>
○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창작과 향유를 포괄하므로 ‘창의적 공간 개발’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 필요
보고서명 | 울산경제사회브리프 No.98 | ||
연구부서 | 경제사회연구실, 경제사회연구실 | ||
과제분류 | 발행연도 | 2019 | |
첨부파일 | 분량/크기 | 278.7K | |
다운로드수 | 2531 | 조회수 | 5682 |
지속·창의적 문화예술교육 위한 ‘교육공간 확충’ 필요
김상우 박사 / 경제사회연구실
<현황 및 분석>
○ ‘공간은 제3의 교사’, 문화예술교육에서 공간 환경의 중요성 부각
○ 많은 교육 참여자, 좁은 교실… 열악한 울산 문화예술교육 공간 환경
<시사점 및 제언>
○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창작과 향유를 포괄하므로 ‘창의적 공간 개발’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