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지역 정비구역 지정 등 제안
울산연구원 이슈리포트 발간
노후 공업지역 관리방안 제시
울산연구원(원장 편상훈)은 29일 발간한 이슈리포트를 통해 ‘울산 노후 공업지역 관리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서 이주영 연구위원은 올해 ‘도시 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 및 지침이 제정되면서 울산의 노후 공업지역 관리와 정책적 지원 근거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울산은 공업지역의 입지 특성을 고려해 정비구역 유형을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계획·체계적 관리를 통해 도시의 혁신공간으로 재창조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울산시가 공업지역 기본계획을 수립 중인 가운데 ‘노후 공업지역의 관리방향 설정’과 ‘공업지역 정비구역 수립’에 관한 방향성을 제언했다.
이 연구위원은 울산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의 목표가 산업단지를 보완할 수 있는 공업지역 기능을 강화하고, 입지 특성에 따라 ‘남부권 혁신 거점 공간의 육성과 동해선 광역철도 역세권과의 연계’ 등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 발전을 선도하는 정비방안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입지적으로 넓은 면적의 노후 공업지역이 집적된 곳은 도로 및 상하수도, 주차장 환경관리시설 등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혁신기관의 입지와 향후 예상되는 토지 및 교통시설 개발과 연계전략 마련을 제안했다.
또한 이전 적지의 발생이 예상되는 대규모 단일공장 공업지역은 R&D기능시설 연계 및 광역철도 역세권 등 입지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융·복합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와 함께 기업활동이 여전히 진행 중인 웅촌 고연·은현리를 중심으로 산업정비구역을 지정하고, 대규모 단일공장이 입지한 언양지역 등은 공장 이전 동향을 고려해 단계별로 산업혁신구역을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공업지역 입주기업을 위한 지원 전담조직 및 혁신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해 연구·개발, 시제품 제작, 홍보·마케팅, 장비 지원 등 산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주영 연구위원은 “변화하는 산업여건에 대한 대응과 지속가능한 공업지역 관리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공업지역 내 기업활동, 공장현황, 도시기반시설 등과 관련한 공업지역종합정보망 구축·운영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의 전체 공업지역은 8,208만2,000㎡로 도시지역(주거·상업·공업·녹지 지역) 중 10.9%를 차지하며, 이 중 산업단지가 아닌 공업지역은 1,077만5,000㎡로 전체 공업지역의 13.1%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