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도시환경브리프 111호
울산, 오존·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 위한
‘비산배출 입체 관리체계’ 필요
마영일 박사 / 시민행복연구실
<현황 및 분석>
○ 울산광역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 선진국 수준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대기질 개선 중장기 종합대책(’11∼’20)’을 추진
- 이행평가·환류를 통해 대책을 개선하는 한편, 관련법의 제정에 따른 법정계획을 수립·추진 중
• ‘울산광역시 대기환경 개선 실천계획’의 수립과 이를 기반으로 한 ‘울산형 미세먼지 저감대책(’18∼’22)’ 추진
• 법정계획인 ‘울산광역시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20∼’24)’을 통해 오염물질 총량관리제,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및 운행 제한, 친환경차 보급, 생활오염원 관리 등 다양한 배출저감 대책을 추진 중
○ 지난 20년간(’01~’20) 울산의 대기환경은 전반적으로 상당히 개선
- ’20년 SO2(이산화황), NO2(이산화질소), PM10(미세먼지)의 연평균 농도는 ’01년 대비 각각 33%, 82%, 55% 수준으로 개선
- PM2.5(초미세먼지)는 측정 개시 후 17㎍/㎥ 까지 개선되었지만, 대기환경기준(15㎍/㎥)을 초과
• ’20년의 전년대비 큰 농도 감소는 정책 이행 효과와 코로나로 인한 사회·경제활동 감소 영향이 더해진 이유로 판단됨
○ 대표적인 광화학오염물질인 오존(O3)은 정책 시행에도 지속적으로 악화
- 연평균 O3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년의 연평균 농도가 ’01년 대비 1.6배 수준에 이름
- 고농도 O3로부터 건강 보호를 위한 주의보 발령일과 횟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
- O3는 대기 중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강한 태양빛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물질로 전구물질4) 배출량과 기상조건에 큰 영향을 받음
○ O3 및 유해대기오염물질 개선을 위한 VOCs 배출관리 강화 필요
- VOCs는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들의 총칭으로 생활 주변의 유기용제부터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가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 VOCs는 O3의 전구물질이기도 하지만 벤젠,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등 VOCs를 구성하는 물질들의 상당수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됨
- 타 지역과 다르게 울산은 주요 배출원 중 생산공정이 차지하는 배출 비중이 높아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주요 배출원으로 유기용제 사용(도장시설 등), 생산공정, 에너지 수송 및 저장 등이 존재
• 울산 총 배출량 중 배출 비중은 생산공정 54%, 유기용제 사용 30%, 전국은 생산공정 18%, 유기용제 사용 54%임
- VOCs는 굴뚝이 아닌 공정 중 비산배출(누출)되는 비중이 높아 배출 관리에 어려움 존재
<시사점 및 제언>
○ VOCs 배출관리를 위한 ‘비산배출 입체관측 및 관리체계’ 필요
- VOCs는 생산공정 중 비산배출(누출)되는 비중이 높아 농도 기준이 아닌 시설관리기준을 적용
• 시설관리기준은 오염물질에 대한 직접 관측이 아닌 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중심이라 배출 관리에 한계
- 효율적인 배출 관리를 위해 VOCs 비산배출을 탐지할 수 있는 원격측정장비와 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한 입체 관측 및 관리체계의 구축과 운영이 필요
• 울산시는 선도적으로 산업시설 배출활동 관측을 위한 이동측정차량을 운용 중이나 차량 수와 운용인력 및 예산, 시·공간적 관측활동 불연속성 등과 같은 문제 극복을 위해 원격측정장비 활용 체계 구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원격측정장비를 활용해 ‘산업단지 내 VOCs 비산배출 탐지→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한 배출시설(사업장) 특정→배출시설에 VOCs 배출저감을 위한 점검’을 권고할 수 있음
○ VOCs 비산배출 입체관측 및 관리체계는 ‘환경과 산업’에 모두 유리한 체계
- VOCs 비산배출 관리 강화를 통한 O3과 유해대기오염물질로 인한 건강 위해성 문제 개선 가능
- 생산공정의 비산배출 저감을 통한 원료 및 제품의 손실 개선과 이를 통한 생산비 절감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