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제사회브리프 130호
울산, 수소경제 핵심 ‘생산시설’ 구축에 더 큰 관심을
김문연 박사 / 혁신성장연구실
<현황 및 분석>
○ 윤석열 정부, 문재인 정부에 이어 수소경제 육성 의지
- 정부는 지난 7월 수소경제 구축을 위해 기업들이 수소차, 수소연료전지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힘. 이를 위해 5천억원 규모의 민관합동 펀드도 출시
○ 현대차, 수소차 개발계획 수정… 수소경제 활성화 변수 작용
- 현대차는 지난 8월 3세대 수소연료전지와 제네시스 수소차 개발 중단을 발표하였으나 업계에 따르면 완전 중단이 아니라 개발 시점이 2년 정도 늦춰지는 것임
- 이는 국내·외 수소차 인프라 구축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전기차 시장이 급팽창하면서 수소차 전략을 다소 수정한 것으로 판단됨. 수소 승용차 개발은 잠시 중단했지만 상용차(버스, 트럭)개발은 가속화하고 있음
○ 수소차 보급, 계획에 못 미치는 상황
- 2019년 문재인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오는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움
- 올 상반기까지 국내에 보급된 수소차는 승용차 기준 2만4천대로 3년 전 정부가 목표로 한 보급 대수 7만9천대의 1/3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태임
- 보급이 늦어지는 이유는 전기차 부상, 차종 부족, 수소충전소 구축 미진 등임. 특히 올해 말까지 총 310개의 충전소를 만들 계획이지만, 8월 현재 전국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134개뿐임
- 결국 충전·저장·이송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수소차 보급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음
○ 울산, 수소 생산보다는 활용에 중점
- 울산은 2019년 정부의 수소 로드맵 발표 이후 수소차 생산과 보급,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수소그린모빌리티 개발, 수소 배관망 확충, 수소주거모델 등에 집중함. 즉, 부생수소가 울산 내 수요를 충족시켜 생산보다는 활용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판단됨
- 호주로부터 생산되는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터미널을 만드는 계획도 수립함
- 이 같은 전략은 올바른 방향이지만, 수소경제의 핵심축이면서 고부가가치인 수소 생산 부문이 덜 부각된 측면도 있음
<시사점 및 제언>
○ 수소경제의 핵심인 ‘생산’에 더 많은 관심 필요
- 현재의 부생수소로는 전체 수소 수요량을 채울 수 없다보니 정부는 수입, 국내 추출 시설 확충 등으로 생산량을 늘릴 계획임
- 수소 생산설비 구축은 고부가가치 산업이고, 조만간 해외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국내의 수소 생산설비는 평택, 보령, 삼척 등의 지역에 계획되어 있는 상황임
○ 울산의 강점인 ‘플랜트 산업’을 활용한 ‘그린플랜트 산업 육성’ 필요
- 추출(개질)방식은 국산화가 많이 이루어져 울산지역에 남는 순부가가치가 클 것으로 판단됨
- 울산에 추출 혹은 수전해 수소 생산시설이 구축되면, 수소의 생산에서 활용까지 수소경제의 가치사슬이 완전히 갖추어짐
- 울산은 한국조선해양을 필두로 플랜트 구축이나 구성품 생산에서 다양한 경험과 생태계가 갖추어져 있음. 수소 생산시설 구축을 계기로 ‘그린플랜트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음
• ‘그린플랜트 산업’은 플랜트 산업의 하나로써 환경, (친환경)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탄소제로를 위한 시설을 구축하는 산업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