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제목 울산 인구문제, 인식 전환·신산업 확충이 해답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1208
작성일 2022-06-30 게재일자 2022-06-30
첨부파일 다운로드수

https://www.uri.re.kr/bbs/board.php?bo_table=periodical&wr_id=490

 

울산경제사회브리프 127

울산 인구문제, 인식 전환·신산업 확충이 해답

강영훈 박사 / 혁신성장연구실

 

<현황 및 분석>

산업도시 울산,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 등 인구 유출 우려 여전

- 울산은 대학 진학을 위한 19~24세 학령인구를 비롯해 직업 선택을 위한 29~34세 인구의 유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도 미미하게 인구가 유입되는 도시였음

- 다만 지난 201511월 조선산업 구조조정과 이후 현대중공업의 분사가 인구 유출로 연계되어 현재까지 지역사회에 큰 우려를 주고 있음

지역 산업체의 신규 고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신산업 육성 지연 등이 인구 유출의 원인이라고 판단됨

지역 산업의 특성으로 최근 청년들이 선호하는 고부가가치 서비스분야 일자리 창출 부재도 원인으로 작용

 

2050년 울산 경제활동인구 50.6% 감소 전망전국 최고 수준

- 지난 526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시도편)에 따르면 2050년 울산의 경제활동인구는 전국 최고 수준인 50.6% 감소가 전망되면서 지역사회에 더 큰 우려를 낳고 있음

- 추계에 따르면 울산의 고령인구증가율도 급증하고 있어, 인구정책의 한계에 봉착

’20년 대비 ’50년 울산의 고령인구증가율은 633.7%로 전국 최고 수준일 것으로 추계되며, 이에 따라 울산의 인구증가율은 제주(-1.25%p), 전남(-0.87%p) 다음으로 낮은 -0.86%p로 추계됨

따라서 울산은 전국 최고 수준의 고령인구증가율, 전국 최저 수준의 유소년 인구증감율(-53.0%)을 비롯해 전국 최고 수준의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인한 전국 최저 수준의 자연증가율(-1.23%p) 발생이 추계됨에 따라 인구정책 또한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됨

 

<시사점 및 제언>

울산 인구문제, 인식의 전환이 필요

- 우리나라 인구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는 현재, 울산은 정주인구 유입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유동인구 확보에 더욱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음

인구 감소를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에서 정주인구 유입방안은 더 이상 현실적 대안이 아님

대안으로 광역인프라 확충, 지역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등으로 유동인구 유입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

특히 광역인프라 확충은 빨대효과의 우려보다는 유동인구 유입 가능성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활동인구 확보가 중요

- 기존산업에서 고용 창출을 위한 해법 마련 필요

한계에 직면한 울산의 인구문제 해결방안은 가장 우선적으로 일자리 창출전략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결국 인구문제 해결은 지역 내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의 확보에 달려있음

기존 산업에서는 기존 일자리를 나누는 잡 셰어링(job sharing), 근로시간 단축으로 일감을 나누는 워크 셰어링(work sharing)과 함께 임금피크제에 들어간 직원만큼 실질적인 신규 인력을 확충하고, 무형의 지식자원이 세대 간 이전될 수 있는 제도적 여건 마련 등의 일자리 창출 방안 마련도 필요

- 신산업의 육성에 따른 일자리 확보전략이 인구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

현재 추진 중인 에너지관련 신산업 육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청년들이 일하고자 하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육성 등으로 산업의 스펙트럼을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음

 - 이러한 노력이 가시화되면 통계청 인구 추계에서 전망된 울산 인구감소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